충남도 ‘연안·하구 생태복원’ 입법화 시동… 공감대 확산·정부 정책화 방안 모색 위한 토론회

입력 2016-11-16 21:06
충남도가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에 앞장서고 있다.

충남도는 연안 등의 생태복원의 전국적 공감대 확산과 정부 정책화 방안 모색을 위해 16일 국회에서 토론회를 가졌다.

박완주·김태년·김태흠·성일종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도가 주관했다.

‘연안·하구 생태복원 필요성’을 주제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는 국회의원과 농식품부·환경부·해수부 관계자, 충남도와 전남도,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주제발표와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주제발표는 충남연구원 이상진 박사와 광주전남연구원 김종일 박사, 명지대 이창희 교수가 했다.

이상진 박사는 ‘충남 연안 및 하구 생태복원 방안’ 주제 발표를 통해 하구의 의미와 범위, 보편적 특성, 우리나라 하구역과 간척(갯벌 매립), 방조제 현황 등을 집중 설명했다. 그는 이어 ‘닫힌 하구’로 인한 생태계 순환 고리 차단, 오염물질 축적, 용존산소 농도 저하, 갯벌 감소 등 하구 생태계 훼손과 수질 악화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김종일 박사는 ‘전남 하구의 실태와 문제점’이란 발표를 통해 전남지역 하구의 자연·문화적 특성과 변화, 간척과 하구둑, 방조제 축조, 수자원 개발 및 유역 간 이동에 따른 하구 환경 변화 등을 제시했다.

이창희 명지대 교수는 ‘하구 보전·복원을 위한 법제 개발의 필요성 및 추진 방안’란 주제 발표에서 하구 현황과 하구 관리 법제 필요성 및 요건, 개발 방안 등을 소개했다. 이 교수는 이어 “하구 관리를 위한 법제 개발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없다”며 “하구 보전·이용·개발과 연관된 기존 사고를 벗어난 전향적 의식 전환 및 공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성=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