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민들이 KTX세종역 신설을 저지하기 위해 한데 뭉쳤다.
KTX세종역 신설 백지화를 위한 충북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는 16일 충북도청에서 출범식을 갖고 정부에 세종역 타당성 조사용역 중단과 신설 백지화를 요구했다.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 60여개로 구성된 비대위는 세종역 백지화를 위한 대응논리 개발과 대안제시, 공감대 확산 역할을 하게 된다.
비대위는 출범 선언문에서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인 세종시가 오히려 균형발전에 역행하는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세종시는 지역개발이라는 단편적인 이익에 눈이 멀어 세종역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세종역 신설은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출퇴근 편의를 위해 막대한 국가예산을 낭비하겠다는 대국민 선전포고”이라며 “세종시의 자족기능 강화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잘못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또 “정부는 국책사업의 원칙과 일관성을 유지해 세종역 신설 사전 타당성 조사용역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며 “오송역의 위상과 지역 자존심을 지키려는 세종역 신설 백지화 운동에 충북 도민의 지지와 동참을 호소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역 설치 논란은 지난 8월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세종역 신설을 포함한 선로 용량 확충을 위한 사전타당성조사 연구용역을 발주하면서 시작됐다.
세종역 신설 예정지는 대전·세종 경계지역인 세종시 금남면 발산리 일원으로 오송역과 15㎞, 공주역과 20㎞ 정도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세종역이 신설될 경우 세종시 관문역인 오송역과 지난해 4월 개통한 공주역의 역할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오송역과 공주역 사이에 세종역이 들어서면 역간 거리도 짧아져 ‘저속철’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높다.
이에 따라 충북도는 세종역 신설 저지 방안의 하나로 택시비 할증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오송역∼세종청사 구간 택시요금은 복합할증(35%)과 사업구역 외 할증(20%)이 추가돼 철도요금보다 비싸다. 현재 서울역에서 오송역까지의 KTX 요금이 1만8500원인데 오송역에서 내려 세종청사까지 가는 20분 거리의 택시요금은 2만원 안팎이 든다. 모든 할증이 폐지될 경우 오송역∼세종청사 택시요금은 1만3920원에 불과하다. 세종역 예정지에서 세종청사까지는 7㎞ 정도로 택시요금은 9000원 정도가 예상된다.
도와 청주시, 세종시 관계자들은 이날 오후 청주시청에서 오송역∼세종시 구간 택시요금 개선을 위한 4차 실무협의를 진행했지만 기존 입장만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주= 글·사진 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KTX세종역 신설 백지화”… 충북범도민비대위 떴다
입력 2016-11-16 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