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결국 해체?

입력 2016-11-16 18:20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심재철 국회부의장(왼쪽부터) 등 새누리당 비주류 인사들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 준비위원회에 참석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김지훈 기자

새누리당 해체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계기로 계파 갈등이 격화되면서 집권여당의 붕괴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탈당 등 당 해체 논의에 속도를 내는 비주류를 겨냥해 친박(친박근혜) 주류가 “배은망덕하다” “무책임하다”며 강력 반발하는 등 혼란은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다.

비주류 주도의 새누리당 비상시국위원회가 1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첫 대표자·실무자 연석회의를 열었다. 현 지도부를 배제한 비대위 구성 등 ‘당 해체 로드맵’과 박근혜 대통령 거취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김무성 전 대표와 김문수 전 경기지사, 오세훈 전 서울시장을 비롯해 20여명이 참석한 회의에선 “박 대통령에 대한 지체 없는 검찰 수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정현 대표의 사퇴를 요구했던 정진석 원내대표도 회의에 참석, 이 대표의 조기 전당대회 제안에 반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유승민 의원은 대구시당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금 당 지도부가 물러나지 않고 버티는 것은 하루하루 당을 망가뜨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비주류에선 “지도부의 버티기가 계속되면 탈당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있다. 일각에선 비주류 내 확실한 구심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영남권 한 의원은 “비주류 안에서도 생각이 서로 다른 세력이 있는데 한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최순실 사태 여파로 움츠러들었던 친박계는 강경 대응으로 급전환했다. 비주류의 당 해체 주장에 대해 “무책임한 해당행위”라고 맞받아치고 나섰다. 이정현 대표는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 간담회에서 “매월 돈을 내면서 새누리당을 지켜온 당원들이 진짜 새누리당의 주인”이라며 “당원이 주권자임을 인식하고 각자 언동을 신중하게 해줬으면 한다”고 했다. 비주류에 대해선 “수십만 책임당원들에 대한 배은망덕”이라고도 비판했다.

최경환 의원은 “지도부가 솔직히 아무런 대안 없이 물러나는 것도 무책임하다”고 강조했다. 홍문종 의원도 “대선을 앞두고 적전분열해서 결국 대선까지 (야당에) 넘겨줄 수밖에 없었다는 책망을 나중에 어떻게 감당하려는지 모르겠다”고 비주류를 공격했다. 박 대통령의 하야는 없다는 입장을 밝힌 청와대와 물밑 교감을 이룬 친박계가 공동 대응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비주류 중진 의원들은 간담회에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았다. 여야 비주류 의원 14명은 기자회견을 갖고 국정 정상화 논의를 위한 국회 본회의 또는 여야 의원 전원이 참석하는 전원위원회를 열 것을 제안했다.

글=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