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6일 부산 해운대관광리조트사업인 엘시티(LCT) 비리 의혹 사건에 대해 철저한 수사와 엄단을 지시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은 오늘 법무부 장관에게 엘시티 비리 사건에 대해 가능한 수사 역량을 총동원해 신속 철저하게 수사하고 진상을 명명백백하게 규명해 연루자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단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정치권은 퇴진·하야 요구를 거부한 박 대통령이 엘시티 비리 의혹을 고리로 본격적인 국정 주도권 회복에 나서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날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즉각적인 하야나 질서 있는 퇴진은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고, 유영하 대통령 변호인은 검찰에 수사 연기를 공개 요청했다. 일련의 흐름은 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재개 시도라는 게 일반적인 해석이다.
앞서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회의에서 “엘시티 회장 비리 사건은 또 하나의 ‘최순실 게이트’”라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포스코건설이 엘시티 시공을 맡게 된 배경을 놓고도 “대통령과 제일 가깝다고 자랑하고 다니는 정치인이 개입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정 대변인은 “박 위원장이 이번 사건을 대통령과 연관된 비리인 것처럼 의혹을 제기하는 것은 근거 없는 정치공세”라고 반박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공개 일정은 없었지만 외교 안보 국방 등 현안을 꼼꼼하게 챙긴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 대사로 내정한 조태열 외교부 제2차관 후임 인사도 단행했다. 예고한 대로 조태용 청와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 고위 실무대표단도 미국에 파견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인수위원들과의 접촉면을 넓히려는 시도다. 청와대는 지난 12일 100만 촛불집회 이후로 박 대통령과 최순실씨 관련 언론 보도에도 적극 대응하기 시작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정 공백은 야권과 언론에서나 하는 얘기”라고 말했다.
야당은 “전형적인 물타기”라고 반발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지율 5% 대통령이 국민을 상대로 전면전에 나선 격”이라고 말했다.
글=권지혜 고승혁 기자 jhk@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
朴 “엘시티 엄단하라”… 국정 장악 시도
입력 2016-11-16 17:51 수정 2016-11-16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