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3당 지도부와 야권 유력 대권주자들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위한 단일대오를 형성하면서 야권공조 방안에 정치권 안팎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는 16일 공조 방침을 재확인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서울중앙지검에서 천막농성 중인 민주당 의원들을 방문한 자리에서 “안 전 대표가 제안한 ‘정치지도자회의’도 좋은 방안이라고 본다”며 “정국 현안에 대해 함께 의견을 교환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문 전 대표는 새누리당과도 논의할 수 있다는 안 전 대표와 달리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과 함께 책임져야 할 대상”이라고 선을 그었다.
안 전 대표도 앞서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야3당 초선의원 모임 ‘따뜻한 미래를 위한 정치기획’ 토론회에 참석해 “언제 어디서든 여야의 책임 있는 정치인과 만나 시국수습 방안에 대한 합의를 이뤄갈 생각”이라며 문 전 대표를 책임 있는 정치인 가운데 한 명으로 꼽았다. 그는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등과 연쇄 접촉하며 야권 대선주자와의 접점을 늘리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손 전 대표와 안 지사를 만나 “정국 해법에 대해 이야기하자”고 제안했다. 박 시장과는 지난 9일 회동했다.
야권은 17일 야3당 대표회동 개최에도 전격 합의했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의 ‘단독 영수회담’ 제안 및 철회로 불거졌던 공조 균열 우려를 불식시키며 공동전선 구축 의지를 확인했다. 국민의당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대책위원장인 천정배 의원은 “야권 공조를 튼튼히 해야 한다”며 “정치권과 각계각층 국민 대표로 참여하는 ‘비상국민대표회의’ 구성을 제안한다”고 했다.
다만 방법론에서는 야권 내부 이견이 감지된다. 민주당은 추 대표와 문 전 대표가 제안한 ‘비상시국기구’를 통해 시민사회 세력과의 적극적 연대를 추진하고 있다. 전통적 야권 지지그룹인 시민사회 단체와의 연대를 통해 퇴진운동 동력을 극대화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민의당은 정치권 내부 해법 마련을 우선시하며 반대했다. 민주당과 시민사회가 주도하는 퇴진운동에 ‘들러리’ 서기보다 국회 내 ‘캐스팅보터’로서 주도권을 장악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추 대표와 문 전 대표가 제안한 정당과 시민사회단체 간 연대기구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며 “시민사회단체가 정당과 어떤 운동을 전개할 때 국민이 시민단체의 도덕성을 의심하는 것이 과거의 관례였다”고 말했다.
글=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朴 퇴진” 한목소리 내지만… 민주-국민의당 각론서 입장차
입력 2016-11-16 17:43 수정 2016-11-16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