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육아휴직과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산을 통해 공공부문에서만 2만5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일·가정 양립 제도를 통해 생긴 빈자리에 정규직을 고용해 청년고용 확대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15일 발표한 ‘일·가정 양립 등을 통한 공공부문 청년고용 확대 실행방안’을 보면 모든 공공기관에서 2018년까지 8세 미만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남성 육아휴직 대상자의 5%가 육아휴직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육아 등으로 일정 기간 근로시간을 단축했다가 전일제로 복귀하는 ‘전환형 시간선택제 일자리’는 기관별로 정원의 3% 이상 활용하도록 했다. 육아휴직 및 시간선택제 전환근로자의 업무를 대신하는 동료에게는 업무대행수당을 지급한다. 육아기·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용 실적이 없는 기관 450곳은 내년 1분기까지 제도를 활용하도록 하고, 실적을 점검·관리할 예정이다.
이들 제도 활용으로 발생하는 빈 일자리에는 정규직을 충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기관별 수시·자율 채용을 활성화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를 통해 9000개, 전환형 시간선택제 확산으로 3500개 등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남성 육아휴직 늘린 빈 자리에 청년고용 확대 추진
입력 2016-11-15 1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