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의 가장 유력한 대선 후보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전국적인 퇴진운동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과 시민사회를 포함한 비상기구를 조직해 퇴진 이후 로드맵도 구성할 것을 촉구했다. 이를 위해 범(汎) 야권 대선 주자와의 공조 의사도 내비쳤다.
문 전 대표는 1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 혼란을 최소화하고, 박 대통령에게 퇴로를 열어주려는 충정으로 최대한 인내해 왔다”며 “하지만 이제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박 대통령이 조건 없는 퇴진을 선언할 때까지 전국적인 퇴진운동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최순실 게이트’ 촉발 이후 거국중립내각 구성, 대통령 2선 후퇴를 요구했던 문 전 대표가 공식적으로 퇴진운동을 선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전 대표는 “다른 야당, 다른 대권 주자와 논의해 힘을 모아나가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퇴진운동 확산을 위한 범야권 및 시민사회,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비상기구 조직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를 통해 박 대통령 하야 이후 ‘로드맵’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 전 대표는 “정치권, 시민사회와 함께하야 이후 로드맵을 만들어나갈 필요가 있다”면서 “이후 과도내각이 (최순실 게이트) 진상을 확실히 규명하고 다음 대선을 공정하게 관리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퇴진 선언 범위도 비상기구에 일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퇴진 선언이 나오면 ‘질서 있는 퇴진’ 방향을 비상기구에서 충분히 논의할 것”이라며 “청와대는 국무총리 한 사람 먼저 지명하곤 거국중립내각이라 우기는데, 이제 총리 후보자가 어떤 사람이냐 말할 단계는 이미 지났다”고 말했다.
전날 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박 대통령 회동 백지화를 통해 야권 공조의 필요성도 강조됐다고 밝혔다. 그는 “영수회담 철회 과정에서 야권 전체와 시민사회 공조가 가장 중요하다는 소득을 얻었다”며 “어제 민주당 의원총회에서도 그런 자세를 다시 새기게 됐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지난 총선 당시 “호남이 지지를 거두면 정계 은퇴하겠다”고 했던 ‘광주 선언’에 대해선 “새누리당의 과반 의석을 막고 정권교체 기반을 만들기 위한 전략적 발언이었다”며 “하지만 호남 지지가 없다면 대선을 포기할 것이라는 약속은 반드시 실천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글=강준구 정건희 기자 eyes@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문재인 “전국적인 朴 대통령 퇴진운동 나설 것”
입력 2016-11-15 1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