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국방 해임안 제출도 합의… 野, 다시 단일대오

입력 2016-11-15 17:55
야권이 15일 한민구 국방부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 제출에 합의했다. ‘야권공조 균열’ 우려를 일단 불식시켰다는 평가다.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원내수석부대표와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 정의당 김종대 의원은 국회에서 만나 한 장관 해임건의안을 오는 30일 국회에 제출키로 했다. 해임건의안은 다음달 2일 본회의에서 처리될 예정이다.

해임건의안 제출 합의는 우리 정부가 전날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에 가서명한 것에 따른 후속조치다. 야권은 그동안 일본과 군사정보보호협정 체결 강행시 한 장관에 대한 해임 절차에 착수키로 했었다.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한 장관을) 탄핵하기에는 법적요건이 불분명한 부분이 있어 해임건의안 제출에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야권은 강력 반발하고 있지만 미국 정부는 즉각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미국 국방부는 14일(현지시간) “가서명 소식을 환영한다”며 “가서명에 이어 협정이 공식 체결되면 북한 위협에 보다 긴밀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그동안 물밑에서 한·일 양국이 최대한 이른 시일 내 군사정보보호협정을 체결할 것을 독려해왔다.

야권은 지난 12일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요구 촛불집회 이후 갖기로 했던 야3당 대표 회동도 재추진키로 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 추미애 대표의 (영수회담 취소) 결단을 높이 평가하고, 전화위복의 계기를 만들었다”며 “조만간 야3당 대표회담을 갖고, 박 대통령의 퇴진을 위해 모든 일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 대표 측은 “당연히 회동에 응할 것”이라며 “시민사회와 야권이 함께 만나는 방안이 추진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감정의 앙금’도 포착됐다. 박 비대위원장은 “추 대표가 중간에 한 사람을 두고 며칠간 (청와대와 영수회담을) 추진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사람이) 추미애의 최순실”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에 대해 “박 위원장이 그렇게 비꼬아놓고, 바로 대표회동을 제안하는 건 무슨 의도냐”며 발끈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