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우체국서 로봇이 일한다

입력 2016-11-15 17:40
내년부터 병원에 재활이나 물류 등을 담당할 로봇이 시범 운용되고 2018년부터 우체국에는 인공지능 기반 소셜로봇이 보급된다. 로봇 연구자들이 마음 편히 연구할 수 있도록 5년간 연 1억∼3억원의 연구비도 지원한다.

정부가 15일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주재로 로봇산업정책협의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관계부처 합동 ‘로봇산업 발전방안'을 확정, 발표했다.

지난달 주형환 산업부 장관 주재로 열린 로봇산업 발전 간담회에서 나온 내용을 구체화한 것으로 12월 발표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응방향’(가칭)에 담길 예정이다.

서비스로봇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의료·재활, 무인이송, 소셜, 사회안전 등 4대 유망 품목에 대한 80개 공공 프로젝트를 2020년까지 발굴한다. 내년부터 병원에 물류 수요 이송로봇을 운용하고 국립재활원과 보훈병원에는 재활로봇 보급을 우선 추진한다. 2018년부터는 우체국에는 소셜로봇을, 병원에는 수술로봇 보급을 확대한다.

기술적 파급효과가 큰 인간형 로봇 분야의 선도기술 확보를 위한 전문 연구인력 양성에도 나선다. 공모 절차를 거쳐 최종 선정된 카이스트에 오는 12월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를 설치, 2020년까지 5년간 150억원을 투자한다.

이와 함께 로봇산업 발전의 세부 투자전략을 담은 중장기 로드맵을 2∼3년 단위로 제시한다. 정부는 6대 로봇연구기관의 주도로 학계와 산업계가 광범위하게 참여하는 ‘로드맵 수립 위원회’를 구성해 내년 2월까지 첫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