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경, ‘대통령 방어’ 전략 설계… 변호인단 지휘

입력 2016-11-14 18:55 수정 2016-11-15 00:29
박근혜 대통령이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검찰 조사를 받게 될 전망이다. 검찰의 방문조사 후보지 가운데 한 곳으로 꼽히는 청와대 본관 인근 연무관(경호실 체육관) 전경. 이병주 기자

검찰의 대면조사가 예고된 박근혜 대통령을 변호하는 일은 누가 맡게 될까. 수사 베테랑 최재경 민정수석이 전체적인 방어 전략을 설계하고, 사선(私選) 변호인단이 조사 입회 등 실무를 담당하는 방식이 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청와대는 14일 민정수석실을 중심으로 박 대통령 변호인단 구성 작업에 집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변호인은 15일 선임할 것”이라며 “조사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고, 장소도 검찰과 협의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변호인은 검찰 신문 때 입회하고, 검찰에 의견서를 제출하는 등 박 대통령의 외부 법률대리인 역할을 맡게 된다.

최 수석과 최철환 법무비서관 등 현직 청와대 참모진은 공식적으로 변호인단에 참여하지 않는다. 민정수석 임명 당시 ‘박 대통령이 선택한 최고의 전관 변호사’라는 평을 들었던 최 수석은 후방에서 변호인단을 지휘·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 변호인으로는 현 정부에서 청와대 참모를 지내 박 대통령과 호흡을 맞춘 경험이 있는 전관 변호사들이 거론되고 있다. 홍경식(사법연수원 8기) 전 민정수석, 김종필(연수원 18기) 전 법무비서관, 유일준(연수원 21기) 전 공직기강비서관, 김학준(연수원 21기) 전 민원비서관 등이다.

최 수석이 변호인단 구성을 주도하는 만큼 김경수(연수원 17기) 전 대구고검장, 강찬우(연수원 18기) 전 수원지검장 등 중량감 있는 특수통 변호사가 선임될 수도 있다.

박 대통령의 방패를 뚫을 검찰의 창으로는 서울중앙지검 한웅재(연수원 28기) 형사8부장과 청와대 문건 유출 부분을 수사해 온 이원석(연수원 27기) 특수1부장이 동시에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박 대통령 퇴진 또는 탄핵, 특검 수사 등을 감안해 사실상 ‘잠재적 피의자’에 준하는 고강도 신문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별수사본부는 ‘늦어도 16일 대면조사’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또 다른 검찰 관계자는 “우리 입장에서는 수요일(16일) 조사가 바람직하지 않나 생각한다. 서면조사는 물리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 조사 방식은 청와대 인근 안가(安家) 방문조사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청와대 측은 “대통령이 검찰청에 소환되는 방안을 제외하면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경호와 보안 등을 이유로 안가에서 조사받을 의향을 타진했다고 한다. 청와대 안가는 대폭 줄어들었지만 현재도 몇 곳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연회장이 있는 연무관과 위민관 접견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있던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등도 거론된다.

검찰 관계자도 “(박 대통령) 조사 시기가 제일 중요하다. 장소는 부차적인 문제”라며 검찰청사 밖 방문조사 수용 의사를 보였다. 오는 18, 19일 기소가 예정된 최순실(60·구속)씨 범죄혐의 확정을 위해서라도 그 이전 박 대통령 조사 성사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뜻이다.

다른 관계자는 “강도 높게 조사하고 적당히 넘어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확인하는 대로 범죄사실을 적시해 탄핵 이후에 대비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청와대는 15일 검찰 수사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지호일 권지혜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