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경식(77) CJ그룹 회장이 조원동(60·사진) 전 청와대 경제수석의 이미경(58·여) CJ그룹 부회장 퇴진 압박 의혹과 관련해 검찰 조사에서 의혹이 사실임을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직권남용 혐의로 조 전 수석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14일 사정 당국에 따르면 손 회장은 전날 검찰 조사에서 “조 전 수석이 전화로 (이 부회장 퇴진 관련) 구체적인 요구를 했다. 상당한 압박을 느꼈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 대통령과 기업 총수 간 ‘비공개 독대’와 관련해 13일 소환조사를 받은 손 회장은 이날 해당 의혹 외에도 조 전 수석의 CJ그룹 인사 압박 내용과 배경 등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도 함께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수석은 2013년 말 손 회장에게 “너무 늦으면 난리 난다”며 이 부회장의 퇴진을 적극적으로 요구한 의혹을 받고 있다. 당시 조 전 수석과 손 회장이 전화 통화를 나눈 녹취록이 공개되며 파문이 일었다. 해당 녹취록엔 “VIP(박 대통령)의 뜻이냐”는 손 회장의 물음에 조 전 수석이 “그렇다. 좀 빨리 가시는 게 좋겠다. 수사까지 안 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라고 답한 내용도 담겨 있다.
검찰은 박 대통령이 직접 CJ그룹 인사 등에 개입했는지 여부를 따질 수 있는 길목에 조 전 수석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최근 불거진 최순실(60·구속)씨 모녀 단골 성형외과의 해외진출 특혜지원 지시 의혹도 조 전 수석 배후에 박 대통령이 있었다는 얘기가 흘러나오는 상황이다. 조 전 수석 부인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박 대통령이 기술이 좋은 곳이라며 해당 성형외과를 소개해 남편이 중동 진출을 알아봤다고 주장했다. 조 전 수석은 해당 병원이 해외진출에 실패하자 2014년 6월 갑자기 경질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병원의 해외진출 컨설팅을 담당했던 업체도 프로젝트에 실패하자 세무조사를 당했다고 주장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지검장)는 박 대통령에 대한 대면조사가 임박한 상황에서 이날 조 전 수석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은 압수수색을 통해 조 전 수석 휴대전화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개인 서류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압수물에 대한 분석이 끝나는 대로 조 전 수석을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황인호 노용택 기자 inhovator@kmib.co.kr
‘이미경 퇴진 강요’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 정조준
입력 2016-11-14 1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