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제안해 성사됐던 양자 영수회담이 당내 반발로 백지화됐다. 추 대표의 돌발행동에 청와대는 15일 오후 3시로 잡았던 영수회담 일정을 취소했다.
추 대표는 14일 오전 청와대에 단독 영수회담을 제안했고, 청와대는 이를 곧 받아들였다. 하지만 원내 지도부와 충분한 상의 없이 전격적으로 회동을 제안한 데 대한 당내 반발이 거세게 일었다. 결국 민주당은 오후 4시 긴급 의원총회를 소집했다. 의총에선 회동 철회, 국민의당·정의당과의 공동 회동, 퇴진 요구를 위한 회동 강행 의견이 충돌했다. 4시간30분간의 마라톤 의총 결과는 회동 철회였다. 민주당 한 중진의원은 “의총 분위기가 험악했다. 회동 취소 요구가 많았다”고 말했다.
추 대표는 “그동안 유지됐던 ‘단계적 퇴진론’ 기조 아래 박 대통령에게 직접 촛불 민심을 전달하기 위해 회동을 제안했다”며 “하지만 의총에서 (박 대통령 퇴진 요구) 의사가 확인된 만큼 회담을 철회하자는 의원들의 뜻을 존중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두환 전 대통령 방문 철회에 이어 깜짝 영수회담도 불발에 그치면서 추 대표 리더십은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추 대표의 회동 전격 제안은 민주당 지지층의 ‘대통령 퇴진 요구’ 압박으로 입지가 좁아지자 내놓은 악수(惡手)라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은 의총에서 박 대통령 퇴진 운동을 뒤늦게나마 당론으로 채택하기로 했다. 앞서 국민의당은 지난주 박 대통령 퇴진 운동을 당론으로 채택한 바 있다.
박 대통령과 추 대표 단독 회동 소식에 반발했던 국민의당과 정의당은 환영의 뜻을 밝혔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추 대표의 결단은 더욱 공고한 야 3당 공조를 확인한 것”이라며 “추 대표와 함께 박 대통령 퇴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정의당 한창민 대변인도 “뒤늦게나마 철회한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했다. 청와대는 “회담 준비 과정에서 발생한 상황에 당황스럽다. 여야 영수회담을 이미 제안한 만큼 회담이 언제든 열리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준구 권지혜 기자 eyes@kmib.co.kr
이 와중에 野 왜 이러나… 추미애, 朴 대통령과 영수회담 제안→취소
입력 2016-11-14 18:42 수정 2016-11-15 0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