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화천군 조경철천문대는 14일 오후 5∼10시 ‘68년 만의 슈퍼문’ 공개관측 행사를 연다.
천문대는 지름 1m의 주망원경 1대와 보조망원경 3대를 동원해 관람객들의 관측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는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슈퍼문 관측, 휴대전화로 슈퍼문 촬영하기, 슈퍼문 특별강연 등으로 진행된다.
이날 달이 뜨는 시각은 서울 기준 오후 5시29분이며 슈퍼문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지는 시각은 오후 8시21분이다. 이때 달과 지구의 거리는 35만6509㎞로 달과 지구의 평균거리인 38만4400㎞ 보다 2만7891㎞ 가깝다.
올해보다 달과 지구의 거리가 더 가까웠던 날은 68년 전인 1948년 1월 26일이었다. 이번보다 더 큰 보름달은 18년 후인 2034년 11월 26일에 볼 수 있다.
조경철천문대는 광덕산 정상 해발 1010m에 위치해 있는데다 사방이 트여있고 가로등과 같은 불빛이 전혀 없어 별자리를 관측하기 좋다.
천문대 관계자는 “월요일은 전국 모든 천문대가 휴관하는 날이기 때문에 천문대에서 슈퍼문을 관측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며 “관측에 불편함이 없도록 자세히 안내해 천문대를 찾은 관람객 모두가 슈퍼문을 볼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화천군은 과학 대중화와 현대천문학 발전에 평생을 바친 고(故) 조경철 박사를 기념하기 위해 2014년 10월 조 박사의 이름을 딴 천문대를 광덕산 정상에 개관했다.
화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68년 만의 슈퍼문’ 14일 밤 화천서 감상하세요
입력 2016-11-13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