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매각, 일괄·병행매각 불발… 쪼개팔기 ‘묘수’ 통해

입력 2016-11-13 18:35
국민의 혈세인 공적자금이 12조7633억원 투입된 우리금융 매각은 그동안 네 차례 실패를 겪었다. 관치금융 논란, 가격 부담 등 여러 난관에 부딪히면서 병행매각, 일괄매각, 분리매각, 지분 분할매각으로 방식으로 여러 차례 바꾸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외환위기로 1999년 공적자금이 투입됐던 한빛은행(한일은행+상업은행)과 평화·광주·경남은행 및 하나로종금 등은 2001년 3월 우리금융지주 아래 모였다. 정부는 우리금융 지분을 4차례 블록세일하면서 공적자금 일부를 회수했다. 이명박정부 들어 민영화에 시동을 걸었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010년 7월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의결하고, 그해 10월 첫 번째 매각 공고를 냈다. 우리은행과 각 계열사를 병행해서 판다는 밑그림이었다. 하지만 독자적 민영화를 위해 구성된 ‘우리금융컨소시엄’이 예비입찰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무산됐다. 2011년 5월 일괄매각 방식의 두 번째 민영화는 ‘관치금융’ ‘정권 개입’이라는 논란 속에 실패했다. 정권 실세였던 강만수 당시 산은금융지주 회장이 우리금융 인수에 관심을 보이면서 정권 개입이라는 뒷말이 나왔다. 금융지주사가 다른 금융지주사를 인수할 때 최소 지분 95%를 보호해야 한다는 금융지주사법도 발목을 잡았다. 금융위는 최소 지분율을 50%로 낮추려 했으나 국회가 ‘메가 뱅크(Mega Bank)’에 부정적이라 법을 개정하지 못했다. 2012년 4월의 세 번째 매각도 좌초했다. 급기야 정부는 계열사를 떼어 판매하는 분리매각을 들고 나왔다. 2014년 11월 네 번째 민영화에서 경남은행을 BS금융지주, 광주은행을 JB금융지주에 팔았다. 우리투자증권(현 NH투자증권)과 우리아비바생명(현 DGB생명)은 NH농협금융에서 인수했다. 다만 우리은행은 경영권 행사가 가능한 지분(30.0%)을 매각하는데 실패했다. 이번 다섯 번째 매각에서 과점주주를 확보함에 따라 우리금융 민영화는 어느 정도 마무리됐다. 정부는 공적자금 10조6000억원(83.4%)을 회수하게 됐다.

홍석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