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 촛불’ 민심을 확인한 야권 지도부와 대선주자들이 “이제는 대통령이 답할 차례”라며 박근혜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단계적 퇴진론’을 주장했던 더불어민주당은 발언 수위를 높이며 당론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고, ‘퇴진’을 당론으로 정한 국민의당은 구체적 방법론 논의에 들어갔다.
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13일 오후 열린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 때문에 국정혼란이 빚어진 것이니 대통령이 결자해지 마음으로 하야 결정을 해야 한다”며 ‘하야’에 무게를 실었다. 추 대표는 연석회의에서는 “이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애국은 촛불을 들고 나온 국민 마음을 헤아리고 받드는 것”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국민의 손으로 헌법이 대통령에게 준 권한을 돌려받는 절차가 남았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문희상 의원도 회의에서 ‘노자’를 인용하며 “지금은 모든 백성이 전부 임금을 업신여기고 모멸하는 경지”라며 “요즘 정말 부끄럽다”고 말했다.
민주당 지도부가 하야를 거론하며 강경 입장으로 돌아선 것은 주말 촛불집회에서 성난 민심을 피부로 느꼈기 때문이다. 촛불집회 이전에 논의됐던 단계적 퇴진이냐, 즉각 퇴진이냐는 차원을 넘어섰다는 인식이다.
이런 기류를 반영하듯 연석회의에서는 강경 발언이 쏟아졌다. 박영선 의원은 “국민 함성에도 침묵하는 대통령은 우리 대통령이 아니다”며 “국회가 국민의 명령에 따라 안정적 하야, 질서 있는 퇴진 요구를 위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석현 의원도 “촛불 민심은 한목소리로 하야하라는 것”이라며 “제1야당으로서 하야하라는 국민의 요구를 귓전으로 하면서 언제까지 2선 후퇴만 주장해야 할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야권 대선주자들도 박 대통령을 강하게 압박했다. 민주당 김부겸 의원은 연석회의에서 “촛불집회에서 국정을 책임질 수 없는 대통령은 물러나라는 목소리가 정확하게 나왔다”며 “대통령이 마지막으로 국민과 국가에 대해 예의 있는 결단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대통령 퇴진을 당론으로 정한 국민의당은 구체적 방법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는 대전 팬클럽 ‘동그라미’ 창립준비위원회가 개최한 비상시국간담회에서 “첫째는 박 대통령이 정치적 퇴진을 선언하고, 두 번째 단계로 여야 합의로 총리를 뽑고, 세 번째는 여야 합의 총리가 법적 퇴진 날짜를 포함한 향후 시간표까지 확정하는 것”이라며 사태 수습 방안을 제시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도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박 대통령이 탈당과 여야 영수회담을 통한 총리 추천, 최순실·우병우 사단을 제거한 거국중립내각 구성, 검찰 수사와 국정조사, 별도특검 수사를 받으며 질서 있는 퇴진을 고민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
“이제는 대통령이 답할 차례” 압박 강도 높이는 野
입력 2016-11-13 18:07 수정 2016-11-13 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