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7시간’ 의혹 언제 수그러드나

입력 2016-11-12 04:34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의 거듭된 해명에도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당일 ‘대통령의 7시간’ 의혹은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다. 청와대와 관계기관의 수차례 설명이 구체적 장소 등을 밝히지 않고 “보고했다. 보고받았다. 지시했다”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세월호 사고 당시 박 대통령 집무장소는 경호상 밝힐 수 없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지만 이러한 입장이 야권과 언론의 의혹을 더욱 키우는 상황이다.

‘7시간 미스터리’는 명쾌한 설명을 하지 않은 청와대가 키웠다는 비판도 있다. 2014년 7월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국회 운영위에서 “(당일 박 대통령의)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고 답한 게 발단이었다. 그러자 비서실장이 대통령 소재를 모른다는 게 더 큰 문제라는 비판이 일었다. 김 전 실장은 그해 10월 국정감사에서 “대통령의 특정 위치 언급이 곤란하다는 취지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당일 구체적으로 무엇을 했는지는 경호상 이유로 끝내 밝히지 않았다.

현재 야권과 일부 언론이 집중 제기하는 의혹은 박 대통령의 미용시술 여부다. 최순실씨 모녀와 최씨 조카 장시호씨 등이 진료받았던 차병원 계열 의료기관 ‘차움’ 담당의와 서울 강남의 한 성형외과 의원 김모 원장에 대한 특혜 의혹이 불거지면서 논란은 더 커졌다.

차움에서 최씨를 담당했던 노화방지 분야 전문의 김모씨는 박 대통령 당선 후 대통령 자문의에 선정됐다. 박 대통령은 지난 1월 차병원그룹의 연구시설에서 6개 부처 합동 업무보고를 받았고, 차병원은 박 대통령의 이란·중국 방문 당시 경제사절단에 포함됐다. 최씨와 최씨 언니 최순득씨가 박 대통령 주사제를 대리처방 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이에 대해 병원 측은 “대리처방은 없었고, 특혜 의혹도 모두 적법 절차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씨 모녀를 진료했던 김 원장은 특히 세월호 사고 당일 박 대통령을 시술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휩싸였다. 그는 논란이 일자 당일 인천 골프장에서 지인과 골프를 쳤다며 고속도로 통행료 결제 내역과 신용카드 영수증을 공개했다. 하지만 성형외과 전문의가 아닌데도 서울대병원 외래진료 교수로 위촉된 점, 박 대통령 해외순방에 세 차례 동행한 점 등이 특혜 아니냐는 지적은 여전하다.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은 11일 “근거 없는 유언비어”라고 일축했다. 당일엔 외부인 또는 병원 차량이 청와대를 드나든 기록도 없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이른바 ‘청와대 굿판’은 ‘찌라시’(사설정보지)와 인터넷을 통해 급속도로 확산됐던 ‘루머’다. 박 대통령이 최태민씨 20주기를 앞두고 청와대에서 천도제를 지냈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지난 4일 대국민 담화에서 “제가 사이비 종교에 빠졌다거나 청와대에서 굿을 했다는 이야기는 결코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을 연일 공격하는 야당도 신빙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있다.

‘정윤회와의 회동설’도 있었다. 지난해 가토 다쓰야 전 일본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이 인터넷판 기사에 이를 다루면서 법적 공방으로 번졌다. 법원은 가토 전 지국장에게 무죄를 선고했지만 기사 내용이 허위라는 점도 인정했다. 정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당일 청와대에서 정상 집무를 봤다”며 “가토 전 지국장 법원 판결과 국회 보고를 통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