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격론 끝에 촛불집회에 참석키로 결정했다. 이로써 야3당 지도부 모두 12일 장외투쟁에 나선다.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 등 야권 유력 대선주자까지 촛불집회에 합류함에 따라 주말을 기점으로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야권의 압박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민주당은 11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12일 개최될 촛불집회에 지도부 전원이 동참하기로 결정했다. 그동안 국정 수습을 등한시한다는 역풍을 우려해 장외집회를 망설였던 민주당이 수세적 태도를 공세적으로 전환한 것이다.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회의 직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규탄대회를 독자적으로 개최하고 지도부는 오후 5시 열리는 촛불집회에 참석하기로 했다”며 “지도부 전원이 동참한다”고 말했다. 추미애 대표는 “우선 (민심을) 경청하고 국민의 뜻을 듣겠다”며 촛불집회 참여 취지를 설명했다. 다만 당 지도부는 집회에서 별도로 박 대통령 규탄 발언을 하거나 거리행진에 나서는 등 추가적인 행동을 취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당내에선 막판까지 장외투쟁 참석 여부를 두고 갑론을박이 오갔다. 당 최고위원이 지도부 자격이 아닌 개별 의원 신분으로 참석하는 방안과 추 대표를 제외한 지도부만 촛불집회에 동참하는 방법 등이 거론됐다. 하지만 지도부는 촛불집회에 최소 50만명(주최 측 추산)이 모일 것으로 추정되는 등 박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민심이 거세지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문 전 대표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나도 광장의 국민들과 끝까지 뜻을 함께할 것”이라며 촛불집회 동참 의사를 밝혔다.
전날 촛불집회 동참을 결정한 국민의당은 재차 박 대통령을 압박했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비대위회의에서 “국민과 함께 퇴진운동에 나서기로 작심했다”며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을 이용해 최순실 사건을 묻으려 한다. 이것을 이용해 박 대통령이 다시 권력을 장악하려는 음모는 버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무소속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도 성명서를 통해 “박 대통령은 이미 국민에 의해 탄핵됐다. 내일(12일) 정오까지 결단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일찍이 장외집회에 나선 정의당은 민주당의 ‘대통령 2선 후퇴론’을 비판하며 강경 투쟁을 주문했다. 심상정 대표는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2선 후퇴는 하야일 수밖에 없는데 하야를 하야라고 말하지 않는 야당에 국민이 매우 갑갑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야권은 향후 검찰 수사를 지켜보며 정국 대처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민주당 원내 핵심 관계자는 “최순실씨가 기소되는 19일 전에 검찰이 박 대통령을 조사할 텐데 서면조사인지, 방문조사인지 형식과 내용을 따져본 뒤 대응 전략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
“朴 퇴진” 압박 주말 기점 거세질 듯
입력 2016-11-12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