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 행적’ 문제가 정국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청와대는 11일 일부 언론이 제기한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의 성형시술 의혹에 대해 “전혀 근거 없는 유언비어로,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정상 집무했다”고 밝혔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관련 의혹을) 박 대통령에게 직접 확인한 결과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당시 박 대통령의 7시간 행적에 대해 청와대가 공식 브리핑 형식으로 입장을 밝힌 것은 2년7개월 만에 처음이다. 청와대는 그동안 국회 운영위 질의, 국정감사 자리에서 답변해 왔다. 야권이 모두 참여하는 12일 대규모 촛불집회를 앞두고 여론 악화 상황을 막기 위해 공식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그러나 당일 박 대통령 집무 장소에 대해선 여전히 ‘청와대’라고만 언급, 이런 의혹과 논란을 불식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7시간 동안 대면보고는 전혀 없이 유선 및 서면보고만 이뤄진 점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 야권은 그동안 박 대통령의 7시간 행적과 관련해 보고라인 정상 가동 여부는 물론 비선실세와의 만남, 성형시술 등 여러 의혹을 제기해 왔다.
정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세월호 사고에 대해 지속적으로 15차례 국가안보실, 정무수석실의 보고를 받았다”며 “경호실 확인 결과 당일 외부인이나 병원 차량의 청와대 방문 사실도 없다”고 해명했다. 오전 10시30분부터 오후 5시11분까지 15차례 대통령 보고가 이뤄진 시간도 일일이 언급했다. 또 “낮 12시50분 고용복지수석이 기초연금법 문제로 대통령께 10분간 전화 보고를 했던 사실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이날 브리핑에서도 박 대통령의 당일 집무장소를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 동선은 경호상 비밀로, 중요한 것은 정상적으로 보고와 지시가 이뤄졌다는 점”이라며 “보고·지시가 수시로 이뤄졌는데 그 시간에 성형시술을 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2014년 10월 28일 김기춘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은 국정감사에서 “대통령 집무 공간은 관저와 본관, 위민관 등 (청와대 안에) 여러 곳이 있지만 그 시간 어느 집무실에 있었는지는 경호상 밝힐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박 대통령이 프로포폴(마취제의 일종)을 맞았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의혹을 받는 해당 성형외과 원장은 ‘대통령이 마취를 하지 않는다’는 말도 했다. 참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박 대통령 임기 초 청와대에 침대 3개가 반입됐고, 이 침대가 최순실씨를 위한 것이라는 주장에도 공식 반박했다. 청와대는 “침대 한 개는 MB정부 때 구입해 창고에 있고, 한 개는 (옛 대통령 여름 별장이 있던) 저도로 갔다”며 “(박 대통령이) 지금 쓰고 있는 것은 한 개”라고 해명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靑 ‘7시간’ 작심 해명했지만…
입력 2016-11-11 18:03 수정 2016-11-11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