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불길이 보건복지부까지 옮겨붙고 있다. 최순실씨가 진료 받은 차병원에 대한 특혜를 반대한 공무원이 인사조치됐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복지부가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최씨가 단골로 이용해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일고 있는 병원 2곳에 대해 당국이 조사에 들어갔다.
복지부는 11일 차병원의 비동결 난자 이용 연구 규제완화에 반대한 공무원의 보직이 변경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했다. 이날 경향신문은 “차병원 숙원사업인 비동결 난자 허용에 반대한 복지부 담당과장이 발령받은 지 4개월 만에 보직이 변경됐다”며 복지부에서도 ‘찍어내기’가 있었다고 보도했다.
외부 압력으로 보직이 변경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과장은 전 생명윤리정책과장 A씨다. A씨는 지난 2월 생명윤리정책과장으로 임명된 후 지난 6월 인사 때 사회서비스정책과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3급(부이사관)인 A과장은 과장급 교육(1년)에서 복귀한 후 직급에 맞는 보직이 없어 4급이 주로 가는 생명윤리정책과장에 배치됐다가 선임 주무과장으로 인사 발령을 받은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또 복지부는 비동결 난자 문제와 관련해 담당과장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과 직원 2명이 육아휴직을 신청한 것도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주무부처로서 육아휴직을 지원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과장급 인사가 4개월 만에 난 것은 이례적이라는 점, 지난 7월 차병원이 7년 만에 체세포 복제배아 연구 승인을 받는 등 각종 특혜 의혹이 제기된 점 등을 고려할 때 의구심이 쉽게 가라앉을지는 미지수다.
한편 보건 당국은 최씨가 자주 이용해 특혜 의혹이 제기된 차병원 계열 차움병원, 김○○의원에 대해 조사를 시작했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대리처방 의혹이 제기된 차움병원에 대해선 향정신성의약품을 제대로 관리하고 있는지를, 김○○의원에 대해선 특혜 의혹 제기 후 향정신성의약품 관리대장을 파쇄했는지를 조사할 계획이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최순실 불똥’ 보건복지부로 옮겨붙나
입력 2016-11-12 0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