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승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만이 아니다. ‘마리화나(대마초)’도 선거에서 큰 승리를 거뒀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9일(현지시간) 미 35개주 유권자들이 대선이 치러진 날 마리화나 합법화와 총기규제 등을 두고 주민투표를 실시했다고 보도했다.
9개주에서 마리화나 합법화를 물었고 8개주가 찬성표를 던졌다. 이 중 플로리다, 노스다코타, 아칸소, 몬태나주 주민은 마리화나를 의료용으로 제한해 합법화하기로 결정했다. 특히 플로리다에서는 찬성 비율이 71.3%로 압도적이었다. 암과 에이즈, 간질, C형간염 등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마리화나에서 추출한 특정 물질만 환자에게 활용될 예정이다.
캘리포니아, 매사추세츠, 네바다, 메인주에서는 기호용 마리화나까지도 합법화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이미 몇 년 전 합법화를 결정한 콜로라도와 워싱턴, 오리건, 알래스카를 합해 기호용 마리화나가 허용된 주는 총 8곳(미국 인구의 20% 해당)으로 늘었다. 애리조나주에서도 기호용 마리화나 합법화 법안이 표결에 부쳐졌으나 반대(52.2%)가 많아 부결됐다.
앞으로 캘리포니아에서는 마리화나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에서는 2020년까지 콜로라도, 워싱턴, 오리건, 알래스카 등 4개주를 합친 것보다 더 큰 220억 달러(약 25조4000억원) 규모의 마리화나 시장이 형성될 전망이다.
마리화나 규제는 약화된 반면 총기 규제는 대체로 강화됐다. 캘리포니아는 비교적 총기를 강하게 규제하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이번 선거에서 주민들은 더 강력한 규제를 원했다. 고성능 탄약 소지를 규제하고 불법 총기소지자 단속을 강화하는 내용의 법안이 통과됐다. 워싱턴에서도 가정폭력 범죄자 등 위험인물의 총기 소지를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권준협 기자 gaon@kmib.co.kr
[美 트럼프 시대] 미국 대선일 또 다른 승자는 ‘마리화나’
입력 2016-11-11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