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17년 예산(안)을 29조6525억원으로 편성했다. 올해보다 2조1487억원(7.8%) 증가한 규모다. 내년 예산은 복지와 도시안전·일자리 확대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특히 올해 보건복지부가 직권취소해 중단된 ‘청년활동지원사업(청년수당)’의 지원대상을 2000명 확대하고 예산도 늘렸다. 반면 ‘최순실 게이트’ 관련 의혹이 제기된 창조경제혁신센터 예산 20억원은 전액 삭감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내년도 예산안을 10일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예산안 중 회계 간 전출입금으로 중복 계상된 부분을 제외한 순계예산 규모는 26조1755억원이다.
시는 내년 예산을 안전, 일자리, 복지를 핵심 키워드로 한 ‘불안해소 시민안심’ 예산이라고 소개했다.
우선 도시안전 분야에 올해보다 1363억원(10.7%) 많은 1조4077억원을 편성했다. 자동차전용도로·한강 PSC 교량 안전강화, 교량·터널·지하차도 등 노후 인프라 유지·보수, 노후 상수관로 정비 등에 4112억원을 투입한다.
지하철 노후시설 재투자, 노후 전동차 교체, 지하철 승강장안전문(스크린도어) 개선 등 지하철 안전시설에도 1761억원을 지원한다. 지하철 내진보강, 교량 등 도로시설물 내진 설계·보강 등 지진 예방에도 617억원을 편성했다.
일자리 사업에는 올해보다 1018억원 증가된 6029억원을 투입, 총 30만개의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심각한 청년실업을 해결하기 위해 뉴딜일자리 예산을 올해 251억원(2000여명)에서 679억원(5400여명)으로 대폭 늘렸다.
서울 거주 청년들에게 매월 50만원의 활동비를 지원하는 청년활동지원사업은 확대해 재추진한다. 사업 예산을 150억원으로 늘리고 지원 인원도 3000명에서 5000명으로 대폭 늘렸다. 보육도우미, 어린이집 방문간호사 등 여성친화 일자리 확대에도 902억원을 투자한다.
국민기초생활보장(1조8374억원), 무상보육(9081억원), 기초연금(1조3670억원), 국공립어린이집 확충(1655억원), 친환경 학교급식(1295억원), 장년층을 위한 50+캠퍼스 확충(152억원)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복지 사업에도 총 8조6910억원을 편성했다.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에도 올해보다 2761억원(16.1%) 늘어난 1조9913억원을 투입한다. 지하철 9호선과 신림 경전철 등 도시철도에 6495억원, 물재생센터 개선 등 하수도 관리에 6910억원, 도로개설 등에 6507억원을 사용할 계획이다.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3억원),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34억원), 6?10 민주항쟁 30주년 기념행사(10억원), 취약계층 청소녀 생리대 지원(28억원) 등 ‘서울형 예산’도 반영됐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내년 예산안은 유례 없는 혼란과 불안한 시국에 시민들의 민생과 안전을 챙기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서울시 내년 예산 29조… 청년수당 늘려
입력 2016-11-11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