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권오준 회장 오늘 소환… 朴 독대 재벌총수 7명 조사

입력 2016-11-10 18:11 수정 2016-11-10 23:51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대기업 총수들을 조사한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대기업 회장 가운데 처음으로 권오준(66) 포스코 회장을 11일 소환한다고 10일 밝혔다. 최순실(60·구속)씨 최측근인 차은택(47) 전 창조경제추진단장이 옛 포스코 계열 광고회사 포레카의 지분을 강탈하려 한 혐의와 관련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겠다는 것이다.

권 회장은 2014년 3월 포레카를 매각하기로 결정했고 A사가 우선협상대상자로 낙점됐다. 차씨와 송성각(58)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 등은 A사 대표에게 포레카 지분 80%를 넘기라고 강요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검찰은 권 회장의 포레카 매각 결정 이면에 차씨에게 이권을 챙겨주려 한 의도가 있었는지 살펴볼 계획이다. 매각 결정 이후 협상 과정에서 최씨나 청와대 외압이 있었는지도 확인한다. 검찰은 이날 공동강요 등 4가지 혐의를 적용해 차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차씨는 또 운영 중이던 아프리카픽처스 운영자금 10억원을 횡령한 혐의, 안종범(57)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과 공모해 지인 이동수씨를 KT 임원으로 취직시킨 혐의 등을 받고 있다. 2014년 한·아세안 문화행사 용역업체 선정 대가로 2억8000만원을 받은 혐의도 있다.

검찰은 권 회장 외에도 지난해 7월 박근혜 대통령과 비공개 면담한 것으로 알려진 대기업 총수 전원을 조사키로 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7월 24일 청와대로 대기업 총수 17명을 불러 오찬을 겸한 공식 간담회를 가졌다. 박 대통령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기아차그룹 회장 등 7명은 이날과 다음날에 걸쳐 청와대와 외부에서 개별 면담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이 개별 면담 자리에서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에 참여해 달라고 독려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검찰은 대기업 총수들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직접 소환조사와 서면조사 방안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 총수 직접 소환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고려해 서면조사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다만 소환조사 가능성도 열어뒀다. 검찰은 이미 삼성, 현대차, LG그룹 등의 임원들을 참고인으로 소환해 두 재단 모금에 강제성이 있었는지 조사했다.

검찰은 최씨 관련 문화계 비리 의혹과 관련해서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을 곧 소환한다. 김 전 차관은 최씨의 개인회사 더블루케이 사업을 위해 각종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노용택 황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