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내우외환, 야권 협조를” 野 “崔 게이트 덮으려 말라”

입력 2016-11-10 18:06 수정 2016-11-10 21:46
도널드 트럼프의 미 대선 승리에 대한 여야의 셈법이 극명히 갈리고 있다. 여권은 ‘트럼프 리스크’를 강조하며 국정 안정과 야권의 협조를 주장했다. 야권은 “트럼프로 최순실 게이트를 덮을 수 없다”며 박근혜 대통령의 2선 후퇴가 국정 수습의 시발점이라고 맞섰다.

새누리당은 10일 국회 대표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김준동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원장, 김현욱 국립외교원 교수 등 외교·통상 전문가들을 참석시켰다. 최고위를 ‘트럼프 현안 보고’ 형식으로 전환시킨 것이다.

당 지도부는 회의에서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대내외 위기상황을 강조했다. 이장우 최고위원은 최고위에서 “안보·경제 분야의 불확실성이 굉장히 높아져 내우외환의 위기에 직면했다”며 “야당은 국정 안정화에 최대한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 조원진 최고위원은 “쓰나미가 밀려오는 것 같다”며 “국회는 정쟁을 내려놓고 여야 영수회담을 통해 국정 공백을 하루빨리 수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이후 트럼프 관련 긴급 세미나와 기자간담회를 이어갔다. 새누리당의 움직임은 국정 혼란에 대한 불안 여론을 자극하려는 성격이 짙다. 국정 수습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영수회담을 거부하는 야권을 압박하겠다는 것이다.

야권은 새누리당의 협조 요청에 의구심을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을 만나 “박 대통령이 트럼프 변수를 국정 중심에 복귀하는 명분으로 삼는다면 국민은 더 분노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도 “국민들의 뿌리 깊은 분노 때문에 트럼프 당선이 최순실 정국을 덮지 못할 것”이라며 “트럼프는 트럼프, 최순실은 최순실”이라고 했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도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여당이) 경제·안보 불안을 들먹이며 불안을 부추길 것”이라면서도 “분노를 덮지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철수 전 대표는 “트럼프는 박 대통령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상황을 빨리 수습하기 위해 대통령이 물러나는 게 최선”이라고 했다. 국민의당은 이날 중앙위원회를 개최해 박 대통령 퇴진운동에 나설 것을 당론으로 정했다. 당 차원의 퇴진 서명운동도 벌이기로 했다. 트럼프 당선으로 조성된 현 상황이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박 위원장은 “트럼프의 당선이 우리나라가 미국의 간섭에서 벗어나 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