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봉근·이재만도 문서유출 가담한 듯

입력 2016-11-09 18:39 수정 2016-11-09 18:40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가 박근혜 대통령의 ‘청와대 문고리 3인방’으로 불리는 참모진 중 이재만(50) 전 총무비서관과 안봉근(50) 전 국정홍보비서관 등 2명의 자택을 9일 압수수색했다. 이로써 지난 6일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구속된 정호성(47) 전 부속비서관과 함께 문고리 3인방이 모두 검찰 수사선상에 올랐다. 두 사람 외에 청와대 전·현직 비서관 2명의 자택도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검찰은 안 전 비서관과 이 전 비서관 등이 청와대 문서를 최순실(60·구속)씨에게 유출하는 데 관여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확보한 최씨의 태블릿 PC에는 정 전 비서관과 안 전 비서관, 이 전 비서관이 문서 작성 아이디를 공유한 흔적이 발견됐다. 이외에도 안 전 비서관은 최씨가 청와대 관저를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차량을 제공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청와대 문건의 작성과 보고를 총괄하는 이 전 비서관은 문건 유출에 연관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가 장관들과 공공기관장이 참여하는 청와대 인사위원회에 들어와 간섭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박 대통령의 최측근 비서진에 대한 조사 결과는 향후 검찰의 박 대통령 대면 조사에도 큰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1990년대부터 박 대통령을 가까이에서 보좌해온 이들은 오랫동안 박 대통령과 최씨를 연결하는 핵심 고리 역할을 해왔다. 3인방의 진술 내용은 박 대통령과 최씨의 관계, 박 대통령의 문서유출 지시 여부 등을 입증해 줄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검찰은 이날 최씨의 요구로 장애인 펜싱팀을 창단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그랜드코리아레저(GKL)도 압수수색했다. GKL은 최씨와 안종범(57·구속)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등의 압력을 받아 지난해 5월 휠체어펜싱팀을 창단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GKL은 애당초 수영이나 사격 선수단 창단을 검토하다 돌연 펜싱으로 종목을 변경한 것으로 전해졌다. 펜싱팀 창단은 GKL 사장 직속의 태스크포스(TF)가 비밀리에 추진한 것이라는 증언도 나왔다.

특히 최씨는 자신이 소유한 더블루케이가 펜싱팀 관리 대행사로 지정되도록 해 이권을 챙겼다는 의혹도 받는다. 최씨와 안 전 수석은 이 과정에 압력을 행사한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가 적용된 상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GKL에 선수단을 직접 운영하지 말고 중간에 대행사를 끼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기도 했다. 문체부가 더블루케이에 이권을 몰아주기 위해 공기업들에 장애인 실업팀 창단을 장려하는 동시에 대행사 활용을 권고했다는 주장도 제기된 상태다.

한편 검찰은 이날 ‘문화계 황태자’로 불리는 차은택(47) 전 창조경제기획단장과 함께 옛 포스코 계열 광고회사 지분강탈에 개입한 혐의(공동강요)로 송성각(58)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노용택 황인호 기자 ny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