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중국에 해외 첫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고 현지 맞춤형 커넥티드카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각국 주요 지역으로 빅데이터 센터를 확대해 전 세계 차량·교통 정보를 통합 활용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8일 중국 구이저우성 구이양시 국제생태회의센터에서 현대차 빅데이터 센터 구축을 위한 ‘전략 합작 협의서’를 공식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같은 날 세계 최대 네트워크 장비 업체 시스코와 커넥티드카 개발을 위한 전략적 협업 협의서도 체결했다.
현대차가 해외에 처음 세우는 이번 빅데이터 센터는 구이저우성 내 ‘빅데이터 산업 특화 국가급 신구(新區)’인 구이안 신구에 들어선다. 자동차 회사로는 첫 입주다.
중국 정부는 도시 일부를 국가급 신구로 지정해 입주 기업에 토지, 금융, 세금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펴고 있다. 현재 국가급 신구는 18곳이다. 중국은 지난해 빅데이터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했다.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은 “구이저우성은 빅데이터를 새로운 경제 성장엔진으로 발전시키며 무한 잠재력을 지닌 핵심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번 협력은 커넥티드카 등 미래 자동차 개발을 가속화하는 것은 물론 현대차그룹의 중국 사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 중국 빅데이터 센터는 인허가 절차와 입주 준비, 각종 인프라 구축 등을 거쳐 내년 6월쯤 업무를 본격 시작한다. 중국 내 차량정보와 각종 소셜 데이터를 모아 축적하고 이를 활용해 현지 소비자 취향에 맞춘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개발하게 된다.
현대차는 아마존과 바이두 등 글로벌 ICT(정보통신기술) 업체가 인접해 첨단 IT 정보와 유행을 파악하거나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데 용이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구에는 IT 인재도 풍부하다. 회사는 최근 커넥티드카 개발 전략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전문기업들과 협업하는 ‘오픈 이노베이션’(개방 혁신) 방식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현대차는 빅데이터 센터를 전 세계 주요 지역에 지속적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3년 전 구축한 국내 빅데이터 센터를 중심으로 각국 빅데이터 센터를 연결해 전 세계 차량·교통 정보를 활용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국내외 빅데이터센터를 상호 연결해 전 세계 방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대차가 전 세계 지역별로 차별화되고 개인의 기호에 맞춘 다양한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의선 부회장과 시스코의 척 로빈스 CEO는 지난 4월 서울 강남구 현대차 사옥에서 만나 커넥티드카의 핵심 기술인 차량 네트워크와 보안 기술에 대해 협업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커넥티드카에 최적화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개발해 독자적 커넥티드카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현대차, 中에 빅데이터센터… 커넥티드카 개발 시동
입력 2016-11-09 18:22 수정 2016-11-09 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