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이 ‘국회 추천 총리를 임명하겠다’는 전날 박근혜 대통령 제안을 공식 거부하고 12일 장외 집회(민중총궐기 집회)에 참석키로 결정했다. 박 대통령의 ‘항복 선언’을 압박하는 동시에 집회에서 표출될 국민적 공분을 협상동력으로 삼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청와대는 조속한 영수회담을 통해 국정을 수습하자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3당 대표는 9일 국회에서 회동해 박 대통령 제안 일축, 민중총궐기 집회 참석 등의 내용을 담은 6개항에 합의했다. 현 사태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명명하고 별도특검·국정조사를 신속히 추진하는 내용도 합의안에 포함됐다. 야3당은 국회 상임위원회·예산결산위원회를 통해 민생과 국가안보를 챙기고 12일 이후 재회동하기로 했다. 박 대통령 2선 후퇴(민주당·국민의당), 탈당(국민의당), 하야(정의당) 등 각기 다른 목소리를 냈던 야3당이 단일 합의안을 도출한 것은 처음이다.
민주당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청와대 허원제 정무수석 말만으로는 국무총리에 대한 권한 이양이 보장되기 어렵다”며 “박 대통령이 직접 국민에게 밝혀야 한다”고 거부 배경을 설명했다. 민주당은 당초 12일 집회에는 참석하지 않고 당원보고대회만 열 예정이었다. 하지만 3당 합의에 따라 집회 참석을 결정했다.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시민사회 인사와의 대화에서 “국가정보원과 감사원, 군(軍) 통수권, 계엄권 및 사법부·헌법재판소·대법원 등에 대한 인사권을 거국중립내각에 맡겨야 한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국회 추천 총리를 지체 없이 임명하고 헌법상 권한을 보장해 거국중립내각 취지를 살려나가겠다고 밝혔다. 배성례 홍보수석은 “국회 추천 총리가 내각 통할권, 각료 임명제청권과 해임건의권 모두를 강력하게 행사하는 것을 대통령이 확실히 보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는 “대통령은 경제·외교 문제에 치밀하게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완전한 2선 후퇴는 고려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이 관계자는 거국내각 구성 이후 총리와 대통령의 충돌 가능성에 대해 “야당과 협의해야 하는 부분으로, 협치를 하겠다”고 말했다.
강준구 남혁상 기자 eyes@kmib.co.kr
3野, 박대통령 제안 거부… 12일 장외로
입력 2016-11-09 18:00 수정 2016-11-09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