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道 지하화’ 국제 콘퍼런스, “양재IC∼잠원IC 복층구조… 지상 문화·상업 복합지구로”

입력 2016-11-09 04:01
니엘 커크우드 하버드대 교수가 8일 서울 남산한옥마을 국악당에서 열린 ‘경부고속도로 지하화와 도시혁명’ 국제학술대회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서초구 제공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지방에서 강북으로 가는 차량들은 대심도 터널을 통해 논스톱으로 빠지고, 강남권을 오가는 차량은 저심도 터널을 통해 편리하게 이동하게 된다. 기존 경부고속도로 상부 20만평의 오픈 스페이스는 사람중심의 친환경적 공간으로 조성된다.

이정형 중앙대 교수는 8일 서울 남산한옥마을 내 국악당에서 ‘경부고속도로 지하화와 도시혁명: 3개의 길로 미래를 열다’라는 주제로 열린 국제 콘퍼런스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은 내용의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마스터플랜을 제시했다.

마스터플랜은 스피드웨이, 로컬웨이, 휴먼웨이 등 3개의 길로 구성된다. 스피드웨이(Speed Way)는 상습정체 구간인 양재IC∼잠원IC(약 6㎞)에 자동차 전용 대심도 지하터널을 지면으로부터 약 40m 이하에 왕복 12차선 튜브형 복층구조로 설치하게 된다.

로컬웨이(Local Way)는 양재IC∼반포IC(약 5.4㎞)의 경부간선도로 구간에 하행(20m)과 상행(20m) 도로가 나란히 놓이도록 저심도 터널에 조성된다.

휴먼웨이(Human Way)는 문화복합지구 및 IC 거점으로 역할하게 된다. 이 교수는 강남역 주변의 상업지역 특성과 연계한 복합문화 상업거리 프로그램을 도입, 기존의 산책로 확장을 통해 삼청동길, 경리단길과 같은 복합문화 상업거리로 조성하는 계획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IC 부지 등 총 11만9444㎡의 개발 가용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공사비는 총 3조원대로 추정되며 잠원, 반포, 서초, 양재 IC 부지 및 롯데칠성, 파이시티, 고속도로 등 인근 가용부지에서 나오는 공공기여금으로 4조원의 재원을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이종구 기자 jg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