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하역 95% 완료 됐지만 ‘법정관리’ 최순실 개입 의혹 확산

입력 2016-11-08 18:38
정부는 8일 한진해운이 계약한 화물의 95%가량이 하역이 완료되는 등 법정관리 개시에 따른 후속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진해운 법정관리행에 최순실씨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고, 인력 구조조정에 따른 정리해고 등 다른 숙제는 산적해 있다.

한진해운 정상화를 위한 관계부처 합동대책 태스크포스(TF)는 이날 20차 회의를 열고 “한진해운 컨테이너선 97척 중 총 94척이 하역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남은 3척 중 2척은 조속히 하역작업을 진행하고, 중국 상하이에 가압류된 1척은 상하이 항만 당국과 협의해 이른 시일 내에 하역할 계획이다.

전날 기준 한진해운이 계약한 화물 39만6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 중 95.5%에 해당하는 37만8000TEU의 하역이 완료됐다. 한진해운이 선원관리 책임이 있는 선박도 법정관리 시작 당시 61척에서 현재 45척으로 줄었다. 남아있는 선박에는 한국인 377명을 포함해 771명이 승선한 상태다. 정부는 물과 음식 등 생필품을 15일 미만 분량으로 보유한 선박을 중심으로 공급하고 있다.

한진해운 법정관리에 따른 물류문제 해결은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법정관리 결정을 둘러싼 논란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진해운 노조는 물류대란을 일으킬 정도로 급박하게 이뤄진 법정관리행에 현대상선을 의도적으로 밀어주기 위한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르재단 출연금을 적게 낸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에서 외압을 받고 물러난 것도 한진해운 법정관리행과 무관치 않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한진해운 직원의 재취업 등 고용안정 문제는 아직 제대로 논의조차 되지 않은 상황이다. 한진해운은 최근 650명의 육상직원 중 절반이 넘는 350명을 정리해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노조는 정리해고가 아닌 희망퇴직 제도를 통해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남은 직원들은 그룹 계열사를 통한 고용승계를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인력 구조조정은 기본적으로 노사 간 합의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