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정국 수습 차원의 ‘영수회담’ 성사를 위해 야권에 거듭 호소하고 있지만 회동 성사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모든 의제를 놓고 박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논의하자는 청와대 제안과 총리 지명 철회 없이는 대화 자체가 성립될 수 없다는 야권 입장이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한광옥 청와대 비서실장은 지난 4일에 이어 7일 여야 대표를 다시 찾았다. 국민의당 박지원 비대위원장을 만나 “내일이라도 영수회담이 가능하다. 총리 인준 절차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박 비대위원장은 이를 거부했고,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만남 자체를 거부했다.
청와대는 김 내정자 지명 철회는 사실상 ‘백기투항’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여야 대표를 만나면 김 내정자 문제를 재고해 달라는 부탁을 할 예정”이라며 “현행법상 모든 권한을 김 내정자에게 드릴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총리 지명 철회가 우선이라는 야권 입장이 변하지 않는다면 흐름은 박 대통령에게 불리하다. 결국 박 대통령의 지명 철회 또는 김 내정자의 자진사퇴 수순이 불가피하다는 현실론이 고개를 들 수밖에 없다. 어떤 식으로든 출구전략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한 비서실장이 “총리 (지명 철회) 문제까지 회담에서 논의하자”고 한 것은 이런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다.
한 비서실장은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를 만나선 “박 대통령이 (내일이나 모레) 국회에 오실 수도 있다”고 했다. 박 대통령의 건강에 대해선 “상당히 침울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2선 퇴진’에 대해선 여전히 회의적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선 퇴진이란 표현이 현행법에 있는 게 아니다”며 “총리가 실질적 권한을 갖느냐의 문제이지 그 용어 자체가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박 대통령이 외치(外治)에 전념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개헌도 안 된 상황에서 대통령이 모든 것에서 물러날 상황은 아니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천주교 염수정 추기경과 기독교 원로인 김장환 목사, 김삼환 목사를 잇따라 초청해 정국 수습책에 대한 조언을 들었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굿을 했다는 등 성도들에게 오해받을 사이비 종교 관련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교계 원로들은 기도와 함께 정국이 안정돼야 한다는 뜻을 전달했다. 김삼환 목사는 “사람을 많이 만나 소통하고 화해와 관용을 추구하길 바란다. 나라를 살리는 길은 하나님의 도우심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했다. 김장환 목사는 성경의 로마서 12장 전체를 읽은 것으로 알려졌다.
남혁상 이사야 기자 hsnam@kmib.co.kr
다급한 靑… ‘책임총리’ 설득 위해 ‘영수회담’ 읍소
입력 2016-11-07 18:10 수정 2016-11-07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