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미국의 선택] 투표 대상 결정 못한 '스윙 보터' 관심사는

입력 2016-11-08 00:03

미국 대선 후보들이 마지막 표심잡기에 나선 가운데 각 지역의 ‘스윙 보터(부동층)’들은 지역 자체 현안에 따라 표심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소리(VOA) 방송은 6일(현지시간) 마리화나 합법화, 총기규제 여부, 사형제 폐지 등 각 지역 현안에 효과적으로 어필한 후보로 부동층이 몰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선 캘리포니아를 포함해 애리조나, 네바다, 메인, 매사추세츠주에서는 기호용 마리화나 허용 문제가 최대 현안이다. 의료용 마리화나는 이미 전체 50개 주의 절반 가까이에서 허용되고 있지만 기호용은 현재 5개 주에서만 가능하다. 특히 캘리포니아주에서는 마리화나 합법화로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유관 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면서 허용이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마리화나 합법화는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나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 모두 미온적 태도를 보인 주제다. 대부분 정책에서 첨예하게 대립한 두 사람은 마리화나만큼은 거의 유사한 주장을 펼쳤다. 의료용 허가는 필요하지만 기호용은 각 주정부의 선택에 맡기겠다는 식이었다. 때문에 막판 유세에서 누가 ‘마리화나 허용’ 쪽으로 더 기우느냐에 따라 표심도 따라갈 전망이다.

메디케이드(저소득층·노년층을 위한 의료보험) 가입자에 한해 처방약 비용 부담을 줄이는 것도 중요한 이슈다. 대선일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4개 주에서는 의약품 비용 인상을 저지하는 방안이 국민투표에 부쳐진다. 클린턴은 처방약 비용 규제를 강조한 반면 트럼프는 반대한 적은 없지만 뚜렷한 공약을 내세운 적도 없다. 따라서 전략적으로 트럼프에게 스윙 보터의 환심을 살 마지막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최저임금 인상 역시 대선 막판의 뜨거운 감자다. 이는 사우스다코타, 애리조나, 콜로라도, 메인, 워싱턴 등 5개 주의 주요 관심사다. 클린턴과 민주당은 현재 7.25달러인 연방 최저임금을 15달러까지 인상하겠다고 주장해 왔다. 반면 트럼프는 당초 “주별로 알아서 조정해야 할 문제”라고 했다가 지난 6월 “연방 최저임금을 최소 10달러 인상해야 한다”고 입장을 바꿨다. 갑작스럽게 입장을 번복한 트럼프는 아직 최저임금 인상을 바라는 스윙 보터들에게 신뢰를 얻지 못했다. 이대로라면 최저임금 사안 역시 ‘클린턴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총기 규제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네바다주와 메인주, 사형제 폐지를 주장하는 20여개 주의 스윙 보터도 이변이 없다면 결국 클린턴에 마음을 굳힐 것으로 예상된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