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정부 지원을 받는 전통의학기업 투바(TOOBA) 산하 이란 전통의학연구소(JCTM)의 충북 청주시 오송 설립이 가시화되고 있다.
충북자유경제자유구역청(경자청)은 영리법인인 투바가 지난 3일 경자청에 구체적인 투자계획과 투지시기를 작성한 공식 서한문을 이메일을 통해 전달했다고 7일 밝혔다.
경자청에 따르면 전통의학연구소 설립 추진은 종전의 투바 차원의 민간 투자를 포함해 국립연구기관인 이란 농업바이오기술연구원(ABRⅡ)의 참여로 확대 개편되고 이란 측의 전통의학공동연구소 설립자금 120만 달러(12억원)가 올해 안에 송금될 예정이다.
새롭게 개편된 조직은 이란 농업바이오기술연구원과 투바, 테헤란대학교 등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다.
이란 농업바이오기술연구원은 유전자공학, 농업바이오 공학, 조직배양기술 등을 연구하고 있다. 150명 이상의 연구 인력을 갖추고 있고 이란 내 5곳의 분원을 운영하고 있다.
경자청은 지난해 4월 이란 투바전통의학 컨소시엄과 10년간 20억 달러(2조2810억원)를 투자하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 이란 측은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있는 오송바이오밸리에 전통의학 공동연구소를 설립하고 향후 의료생산라인, 임상병원시스템 구축 등을 설립한다고 약속했다. 이란 측의 2조원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 첫 단추는 전통의학연구소 설립이다.
이에 따라 경자청은 지난해에 이란 기업과 충북도가 합작하는 이란 전통의학공동연구소가 청주 오송에 들어설 것으로 기대했으나 서방의 경제제재 속에 이란의 설립 비용 송금 등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이 사업은 표류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올해 1월 서방의 경제제재가 풀리고 정부가 원화계좌 자본 거래를 허용하면서 지지부진했던 이란과 공동연구소 설립계획이 다시 속도를 내게 됐다. 지난 5월에는 이시종 충북지사가 직접 이란을 방문해 투바와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논의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경자청 관계자는 “이란의 대외 자본거래가 원활하지 못하지만 투자의지는 확실한 것 같다”며 “우선 연구소 설립에 매진한 뒤 생산라인 구축과 임상병원설립 등은 중장기 과제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이란 전통의학연구소, 오송 설립 가시화
입력 2016-11-07 2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