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사령탑 낙하산 제동 조짐… ‘최순실’ 여파?

입력 2016-11-08 04:04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청와대의 국정 장악력이 붕괴되면서 은행권 최고경영자(CEO) 교체에 연임 및 내부 승진 흐름이 강화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임종룡 경제부총리 내정을 둘러싼 금융 당국 사령탑 인사도 명쾌하게 정리되지 않으면서 정부 출신 인사들의 낙하산 파견도 주춤하는 모양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권선주 IBK기업은행장은 다음 달 27일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중소기업은행법에 따라 설립된 기업은행은 정부 순수 지분이 51%를 넘는 국책은행이다. 행장은 금융위원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권 행장 후임으로 금융관료 출신들이 하마평에 올랐는데, 이달 들어 연임 및 내부 승진 쪽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박춘홍 전무를 비롯해 이상진 여신운용그룹 부행장, 김도진 경영전략그룹 부행장 등이 후보로 언급된다.

물론 낙하산 인사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행장 인선이 늦춰질 수도 있다. 국정 공백사태 장기화로 내부 자회사 인사 등도 연쇄적으로 늦춰지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실제 지난달 초 임기가 끝난 IBK기업은행 자회사 CEO는 후임자가 결정되지 않아 대표직을 유지하고 있다.

오는 11일 민영화 본입찰을 앞두고 있는 우리은행도 어느 때보다 현 이광구 행장의 연임이나 내부 발탁을 원하는 목소리가 높다. ‘민영화 앞두고 관치인사 웬 말이냐’는 구호가 먹히기 때문이다.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51% 가운데 30%는 이달 28일 최종적으로 4∼8%씩 과점주주에게 나눠지게 되며, 이들 과점주주는 사외이사 추천권을 보유해 내년 3월 주주총회에서 행장 등 CEO 인사에서 의견을 낼 예정이다. 정부는 성공적 민영화를 위해 예보 출신 이사의 의결권 배제 방침마저 내놓은 상태다. 이 행장의 3년 임기 가운데 2년은 민영화를 위해 진력하고, 나머지 1년은 다시 결정하자는 이사회 의견이 있었던 만큼 1년 연장 여부는 민영화 마무리 성과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민간은행에서도 내년 3월은 CEO 교체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은 앞서 연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혀 조용병 신한은행장과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 사이의 2파전 구도가 치열할 전망이다. KB금융그룹은 청와대 출신 인사가 내려와 금융지주와 은행장 자리를 떼어놓을 것이란 우려가 사라져버렸다. 윤종규 지주회장 겸 국민은행장 임기가 끝나는 내년 11월까지 지금 시스템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글=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