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만명 vs 4만5000명’
5일 서울 광화문 일대에 나와 ‘대통령 하야’를 외친 시위대 규모는 추산 주체에 따라 15만명 가까운 차이가 났다.
집회 참가 인원 추산에 차이가 나는 것은 ‘추산 방식’ 때문으로 보인다. 주최 측은 집회 참가 인원을 발표할 때 집회에 잠깐이라도 참석한 사람의 수를 모두 더해 발표한다. 이른바 ‘연인원(전체 인원)’ 방식이다. 민중총궐기 투쟁본부 관계자는 “일찍 왔다 가신 분이나 중간에 새로 오신 분들을 모두 직접 세 더한 게 20만명이다. 순간적으로는 최대 15만명 정도가 모였던 것으로 본다”고 6일 밝혔다.
반면 경찰은 공간을 기준으로 집회 참가 인원을 계산한다. 오고 간 사람이 아닌 집회 장소의 길이와 폭 등을 계산해 사람이 최대한 모일 수 있는 숫자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이어 집회 관련 사진 등을 참고해 실제 참가자 수를 직접 세보며 2차 확인 작업을 거친다고도 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은 경찰 발표 4만5000명을 믿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이날 오후 6시쯤부터 집회에 참석한 고모(28)씨는 “광화문 이순신 동상부터 덕수궁 앞까지 사람으로 가득 찼다. 최소 10만명은 넘어 보였다”고 말했다. 장진영 국민의당 대변인도 6일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경찰의 주장은 현장에 가본 사람이라면 누구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집회 참가 인원 추산 방식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투쟁본부와 시민들은 경찰이 의도적으로 집회 참가 인원을 축소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한다. 많은 사람이 참가할수록 집회의 정당성이 확보되기 때문이다. 투쟁본부 관계자는 경찰의 집회 참가 인원 추산에 대해 “현장에서 본 사람들은 경찰의 추산이 틀렸다는 것을 안다. 경찰은 참가 인원을 의도적으로 축소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글=김판 기자 pan@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
주최 측 “20만명” 경찰 “4만5000명”… 시위대 계산법 따라 ‘오락가락’
입력 2016-11-06 1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