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12일 장외투쟁”… 靑·여권 전방위 압박

입력 2016-11-06 17:41 수정 2016-11-06 21:28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들이 6일 서울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박근혜 대통령 2선 퇴진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낭독하고 있다. 민주당 의원 47명은 성명에서 "김병준 총리 후보자 지명을 즉각 철회하고, 국회가 합의할 국무총리에게 전권을 넘긴 뒤 국정에서 손을 떼라"고 촉구했다. 서영희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1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리는 민중총궐기대회에 동참하기로 했다. 정권 퇴진운동을 예고하며 대여(對與) 협상 시한을 12일로 못 박은 셈이다. 민주당은 7일부터 새누리당과 별도 특별검사제 도입, 국정조사 실시 협상에 들어간다. 동시에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국무총리 지명 철회와 2선 후퇴, 국회 추천 총리 수용을 계속 압박할 예정이다.

민주당 윤관석 수석대변인은 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12일 광화문 인근에서 전국당원보고대회를 연 뒤 총궐기대회에 합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궐기대회가 정권 퇴진운동의 시작이 될지 여부는 남은 기간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 태도에 달렸다”고 했다. 추미애 대표가 지난 4일 내건 3대 요구사항을 여권이 얼마만큼 수용하는지 보고 정권 퇴진운동의 수위를 정하겠다는 얘기다. 당원보고대회엔 당 소속 의원들과 당원 등 1만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그동안 민주당 의원들이 개별적으로 박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집회에 참여한 적은 있어도 당 차원에서 ‘거리’로 나간 적은 없었다. 다만 ‘장외 투쟁=하야 요구’로 해석되는 만큼 민중총궐기대회에 어떤 방식으로 합류할지는 논의 중이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주말 촛불 집회와 여론 추이를 점검했다. 추 대표는 “대통령만 결단하면 문제는 풀린다”며 결자해지를 촉구했다. 이어 기자들과 만나 “장외 투쟁이 목표인 정당이 어디 있겠느냐”고 했다. 영수회담 역시 3대 요구가 선행돼야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윤 대변인은 “청와대로부터 공식 제안이 없었다”며 “마치 영수회담을 할 것처럼 언론플레이를 하고 있다”고 불쾌해했다. 당 소속 의원 47명은 ‘박 대통령은 즉각 국정에서 손을 떼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청와대 앞 기자회견에서 “최근 박 대통령의 행태는 민주화 선언 요구에 4·13 호헌 선언으로 역행한 제5공화국 전두환정권과 같은 태도”라며 “계속 민심을 외면한다면 제2의 6월 항쟁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은 궐기대회 전까지는 여론전과 원내 협상을 병행하기로 했다. 진상규명과 국정 수습을 ‘투 트랙’으로 끌고 가겠다는 것이다. 추 대표는 종교계, 시민사회 원로들과 연달아 시국회동을 갖는다. 국민 분노를 고리 삼아 재야 시민단체와의 연대 폭을 넓히려는 움직임이다. 당 상임고문과의 만남도 예정돼 있다. 전국 17개 시·도당에선 동시다발적으로 당원보고대회가 진행된다.

당 원내지도부는 별도 특검과 국정조사 관철에 초점을 맞췄다. 박완주 원내수석부대표는 “새누리당이 특검도 받고 국정조사도 수용한다고 하니 시간 끌 것 없이 선제적으로 나가겠다”고 했다. 또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가 자진사퇴 의사가 없음을 내비친 데 대해선 “대통령도 불통인데 총리 내정자까지 자존심만 세우고 있다”며 “정쟁을 더 유발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글=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사진=서영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