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강점기 때 미주 독립운동단체인 ‘국민회’를 발족하는 등 독립운동에 평생을 바친 고(故) 김성권 선생의 유해가 56년 만에 한국으로 돌아온다.
흥사단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로즈데일묘지에 안장된 김 선생과 부인 강혜원 선생의 유해가 16일 우리나라로 봉환돼 대전 현충원에 안치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김 선생은 1875년 경남 진주에서 태어나 196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숨을 거둘 때까지 한인들을 결속시키고 애국정신을 드높이는 데 힘썼다. 1931∼38년 도산 안창호 선생이 설립한 민족운동단체 흥사단의 이사장을 맡았다. 1943년 조선민족혁명당 미주총지부 기관지 ‘독립’을 창간해 광복 때까지 민족운동에 힘쓰기도 했다.
강 선생은 미주 여성 통합독립운동단체인 대한여자애국단 초대 단장을 맡았었다. 매월 후원금을 모아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송금하며 외교·선전·군사활동을 지원했다.
정부는 1995년 강 선생에게 건국훈장애국장, 2002년 김 선생에게 건국훈장애족장을 추서하고 부부의 공훈을 기렸다. 봉영식은 16일 오전 11시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열린다. 유해는 대전 현충원으로 옮겨져 애국지사 5묘역에 안장된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美한인 독립운동 이끈 김성권 선생, 56년만에 고국으로
입력 2016-11-06 1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