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23일로 예정됐던 싱크탱크 출범식을 무기한 연기한 것으로 6일 확인됐다. 독자적인 대권 행보를 자제하며 정국에 대한 장고에 들어갔다는 의미다. 이미 대통령 하야 요구를 공식화한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와 박원순 서울시장과는 다른 신중한 행보다. 현재 야권 내부에서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고, 대통령 하야를 요구하는 국민 여론도 거세지고 있다. 문 전 대표의 향후 선택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다.
문 전 대표는 최근 내부회의에서 싱크탱크 ‘정책공간 국민성장’(가칭)의 출범식을 무기한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전 국민이 참여해 정책을 논의하는 ‘국가비전회의’(가칭) 출범식도 내년 1월에 갖기로 했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 대선 행보로 비칠 행동은 자제하자는 생각”이라며 “향후 일정도 심사숙고해 결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지난 4일 “청와대가 계속 마이웨이 식 행보를 한다면 중대한 결심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국민 여론과 각계 의견을 두루 살핀 뒤 결정하겠다는 의미다. 아직 중대한 결심은 구체적이지 않다. 문 전 대표 측은 “시간이 조금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거국중립내각 구성 및 박 대통령 2선 후퇴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남은 선택지는 하야 촉구나 탄핵 추진뿐이라는 점도 문 전 대표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 야권 안팎에서는 ‘문 전 대표가 박 대통령의 하야와 조기 대선을 원한다’는 얘기마저 떠도는 상황이다.
문 전 대표는 현재 당 대선 후보군에서 독주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동시에 야권에서 문 전 대표 ‘비토’ 정서도 확산되고 있다. 문 전 대표에게 비판적인 그룹들은 “현 국면은 외부 상황으로 인한 반사이익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반문(반문재인)’ 연결고리도 강화되고 있다. 민주당 김종인 전 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달 31일 비공개 만찬회동을 갖고 ‘반문재인 연대’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만찬에서는 개헌 문제를 비롯한 이후 정국 해법이 폭넓게 논의됐다고 한다.
글=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사진=윤성호 기자
문재인의 대권 속도조절… 싱크탱크 출범 무기연기
입력 2016-11-07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