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기후협정 발효 ‘新기후체제’ 가동… 정부 ‘2030년 BAU의 37% 감축’ 목표

입력 2016-11-06 18:33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까지 온실가스를 감축하겠다고 약속한 ‘파리 기후협정’이 지난 4일 발효됐다. 새로운 ‘기후체제’가 공식 출범한 것이다.

우리 정부도 ‘2030년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의 37% 감축’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대응책 추진에 나섰다. 정부는 탄소저감·탄소자원화·기후변화 적응 등 3개 분야의 10대 핵심기술(718개 과제) 개발에 연간 4833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4월 ‘탄소자원화 발전전략’ 수립, 6월 ‘기후변화대응 기술 확보 로드맵(CTR)’ 마련, 지난달 ‘기후변화대응 혁신 기술 베스트10’ 선정 등을 이끌고 있다. 과학기술 기반의 온실가스 감축을 총괄 지원한다.

6일 미래부에 따르면 ‘탄소자원화 발전전략’은 이산화탄소·메탄 등 형태로 발생된 탄소를 이용해 각종 소재·연료를 만드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게 골자다. 최근 전남 광양·여수산업단지 인근에 ‘부생 가스’(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경유 등 자원으로 만드는 시범사업 단지(전환 실증 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대표적이다. 부생가스 연소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연간 약 6000만t(2013년 기준)으로 추정된다. 미래부 관계자는 “제철소나 석유화학단지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을 포집·분리·정제해 올레핀 같은 플라스틱 원료, 경유 등 화학연료, 고부가가치 바이오가스 등을 생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미래부는 지난달 ‘기후변화대응 대표 기술 10선’을 선정해 발표했다. 고성능 이산화탄소 포집용 흡착제 개발, 차세대 대용량 2차전지 활용 물질 개발 등이 여기에 포함됐다.

미래부가 최근에 공개한 ‘기후산업 육성모델’은 각 부처의 기후기술 성과와 연계해 산업화까지 추진하는 체계다. 온실가스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새로운 기후산업을 창출할 12개 사업화 모델을 도출하고, 이 가운데 ‘도심형 빌딩 태양광 발전’ ‘고온 삼중열병합 연료전지 빌딩 발전’ 등 2개 모델을 올해 우선 개발키로 했다.

도심형 빌딩 태양광 발전은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를 창호나 외벽 등 건축물 외장재로 사용해 태양광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 시스템이다. 유연한 태양전지 기술로 ‘곡면(曲面)’ 구현까지 가능해 심미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할 계획이다.

고온 삼중열병합 연료전지 빌딩 발전은 기존 연료전지 빌딩이 난방만 할 수 있는 단점을 탈피해 냉난방이 동시에 가능하다. 미래부 관계자는 “기후산업 육성모델로 2030년 연 1000만t 정도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글=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그래픽=박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