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의 1차 책임은 박근혜 대통령에 있다. 최씨의 갖은 전횡을 방조하거나 일조한 사실이 검찰 조사에서 속속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들의 분노는 ‘대통령 하야’로 표출되고 있다. 구속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과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 등이 국가적 참사를 막지 못한 공범이다. 역사 앞에 석고대죄할 공범은 또 있다. 바로 새누리당 친박계(친박근혜계)다. 박 대통령과 청와대 참모 못지않게 친박 세력의 책임이 그만큼 크다는 얘기다. 대통령 눈치만 살피면서 단물만 빨아먹었던 이들의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이정현 대표 등 친박계의 버티기는 계속되고 있다. 오히려 수습이 우선이라며 비박계와 전선을 형성하는 등 새로운 대립구도를 만들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적반하장이 따로 없다. ‘대통령의 복심’이라는 이 대표와 친박계 지도부는 지난 4일 밤 열린 의원총회에서 비박계의 퇴진 압력에 침묵으로 버텼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겠다고 예고했고, 강석호 최고위원도 이 대표가 물러나지 않으면 자진 사퇴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대표와 친박계 지도부는 요지부동이었다. 정 원내대표는 5일에도 “우리 지도부로는 좀 어렵지 않느냐”며 이 대표에게 동반 사퇴를 요구했지만 이 대표는 여전히 침묵하고 있다. 친박계 맏형 격인 서청원 의원은 이와 관련, “이정현 대표에게 물러나라는 것은 전쟁하자는 것이다. 전쟁도 불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계의 버티기에는 지금 당권을 내려놓았다가는 박 대통령은 물론 친박 전체가 폐족(廢族)으로 몰릴 것이란 위기의식이 반영돼 있다.
새누리당이 직면한 상황은 엄중하기 그지없다. 정권 재창출은 고사하고 자칫 당의 공멸까지 가져올 수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이런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혁신하고 또 혁신하는 방법밖에 없다. 그 출발점은 이 대표를 비롯한 친박계 지도부의 퇴진이다. ‘친박 천하’를 이끌었던 수뇌부의 정계은퇴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사설] 이쯤되면 정계은퇴하는 친박 나와야 하는 것 아닌가
입력 2016-11-06 1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