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 강경해진 野 “외치도 손 떼라”

입력 2016-11-05 00:04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오전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직후 국회 당대표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위쪽 사진).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 참석해 대화하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야권은 4일 박근혜 대통령의 ‘2차 사과’에도 불구하고 더욱 강경한 대응을 쏟아냈다. 지지율이 5%까지 곤두박질친 박 대통령을 상대로 사실상 ‘항복 선언’을 받아내겠다는 기세다. 여의치 않을 경우 하야와 탄핵 등 가능한 모든 카드를 검토키로 했다. 새누리당은 ‘하야 사태만은 막아야 한다’는 전제 아래 대야(對野) 협상에 나설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박 대통령의 연이은 대국민 담화가 사태 심각성을 잊은 ‘수습책’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민주당은 내치(內治)는 물론 외치(外治)까지 포함한 완벽한 ‘국정 포기’를 요구했다. 특검과 국정조사 관철, 국회 추천을 통한 총리 재지명도 촉구했다. 선결조건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정권 퇴진 운동에 착수하겠다고 통보했다. 추미애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외치도 손을 떼라는 것이냐’는 질문에 “국정수행지지도가 5%로 추락했다. 주권자인 국민이 그렇게 원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민조사위원회’는 정치적 편향성 등을 이유로 김현웅 법무부 장관과 김수남 검찰총장 퇴진을 공식 요구했다. 위원회는 추가 수사 대상자와 국정농단 비호·동조자 명단도 발표할 예정이다.

민주당 비공개 의총에선 ‘박 대통령은 사실상 끝났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이해찬 의원 등은 “당장 천막치고 나가야 한다”며 강경 대응도 주장했다. 총리는 물론 내각 구성권도 요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국민의당 역시 박 대통령의 탈당, 영수회담을 통한 총리 임명을 촉구했다.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저 정도(담화)를 가지고 국민 마음을 풀기엔 부족하다”며 “영수회담을 해야 하지만 김병준 총리 내정자가 걸림돌”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 하야가 현실화되면 무정부 상태가 빚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자칫 정권을 야당에 고스란히 넘길 수 있다는 현실적인 걱정도 크다. 헌법은 대통령 하야·탄핵 시 60일 이내에 차기 대통령을 선출하고 5년 임기를 보장토록 하고 있다. 현 상황에서 대선을 치르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가 맞붙을 가능성이 높다. 여권엔 최악의 시나리오다. 게다가 반 총장이 귀국 이후 새누리당과 손잡을 것이라는 보장도 없다.

다만 야당이 박 대통령 하야 카드를 꺼내들 경우 역풍이 불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고 있다. 박 대통령이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고 여야 협의로 국정을 운영하는 거국중립내각이 유일한 대안이라는 주장이 새누리당에서 확산되고 있다.

여권 대선 주자들은 박 대통령의 2차 사과에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내놓았다. “국민 분노를 누그러뜨리기엔 크게 모자랐다(유승민 의원)” “참담하다. 분노한 대다수 국민은 스스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길 바란다(남경필 경기지사)” “국민 체감 수준에는 많이 부족한 담화(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의 혹평이 쏟아졌다. 김무성 전 대표는 “말하지 않겠다”고 했다.











글=강준구 이종선 기자 eyes@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