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으로 향한 檢… ‘문고리 3인방’ 수사 급물살

입력 2016-11-04 18:33 수정 2016-11-04 21:13
포승줄에 묶인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이 4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으로 들어서고 있다. 정 전 비서관은 공무상비밀누설 등 혐의로 체포됐다. 이병주 기자
‘비선실세’ 최순실(60)씨를 시작으로 박근혜 대통령까지 연결되는 ‘국정농단 의혹 수사’의 본게임이 시작됐다. 3일 최씨 구속으로 수사는 급물살을 타고 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중앙지검장)는 지난달 31일 최씨를 긴급체포한 뒤 당장 혐의 적용이 가능한 미르·K스포츠재단 기금 모금 관련 수사에 초점을 맞췄다. 최씨의 신병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이후 검찰은 청와대 내부문건 유출 의혹 등 ‘국정농단 수사’에 집중하고 있다.

최씨에게 청와대 내부 문건을 보낸 당사자로 지목된 정호성(47)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이 최우선 표적이다. ‘문고리 권력 3인방’ 중 1명인 정 전 비서관은 공무상비밀누설 등 혐의로 3일 심야에 체포됐다. 그는 박 대통령과 최씨를 연결하는 핵심 고리 역할을 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검찰은 4일 정 전 비서관을 서울중앙지검으로 불러 박 대통령 연설문과 국무회의 자료 등을 최씨에게 사전 유출한 경위를 캐물었다. 박 대통령이 관련 문서를 최씨에게 보내도록 지시했는지 여부도 추궁했다. 이외에도 검찰은 ‘최씨가 청와대 내부문건을 갖고 측근들과 강남의 모처에서 비선모임을 열었다’는 의혹을 조사했다.

‘문고리 3인방’ 가운데 안봉근(50) 전 국정홍보비서관, 이재만(50)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도 검찰 수사대상으로 거론된다. 안 전 비서관은 ‘최씨에게 청와대 출입용 차량을 제공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전 비서관은 ‘장관들과 공공기관장이 참여하는 청와대 인사위원회에 들어와 간섭하는 등의 행동을 했다’는 논란에 휩싸인 상태다.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안 전 비서관은 최순실의 명에 따라 수시로 인사개입을 자행했고, 이 전 비서관은 인사를 실행한 인물”이라며 “정 전 비서관과 같이 이들에 대해서도 똑같은, 합당한 수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다 최씨와 가깝게 지내면서 체육·문화계 인사와 각종 이권에 개입한 의혹을 받는 김종(55) 전 문화체육관광부 제2차관, 차은택(47) 전 창조경제추진단장의 소환조사도 임박했다. 김 전 차관은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에 관여했고, 조양호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의 전격 사퇴나 체육인재재단 해산 등을 주도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최씨가 주도한 비선모임의 중추인물로 지목되는 차 전 단장은 검찰의 전방위 계좌추적을 받고 있다. 검찰은 차 전 단장이 직접 경영했거나 가족·측근을 통해 경영에 관여한 법인들이 최씨의 비호 아래 정부, 공공기관, 대기업 등으로부터 석연찮게 일감을 수주한 게 아닌지 의심한다.

한편 구속영장이 청구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 차 전 단장의 광고회사 강탈 의혹에 일부 관여한 사실이 드러났다. 차 전 단장의 측근으로 알려진 송성각(58) 전 한국콘텐츠진흥원장은 포스코 계열 광고사인 포레카를 인수한 중소 광고사에 지분 80%를 내놓으라고 협박한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지분을 넘기라고 압력을 가하는 과정에 안 전 수석이 개입했다”고 설명했다. 안 전 수석이 검찰 조사를 앞둔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에게 연락해 ‘전경련이 (미르·K스포츠재단) 모금을 자발적으로 했고, 재단 이사장부터 이사 선임까지 주도했다’고 진술하도록 강요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글=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