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올리타’ 그 후] 환자위한 조치는 뭐가 있나

입력 2016-11-06 20:20 수정 2016-11-07 13:36

지난해부터 이어진 다국적 기업과 한미약품의 기술이전 계약은 큰 화제가 됐다. 이는 한미약품은 물론 국내 제약업계가 나가야할 방향을 제시했다면서 정부도 제약산업 적극 육성 의지를 밝히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그 중 하나가 한미약품의 폐암 표적항암제 ‘올리타’다. 우리나라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제약산업의 가능성을 보여준 가장 성공적인 사례로 인정받아 왔다.

하지만 지난 9월 말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올리타 관련 부작용 관련 안전성 서한 발표와 10월 국정감사에서 불거진 계약해지 관련 늑장 공시와 부작용 은폐 등으로 한미약품은 곤욕을 치르고 있다.

문제는 한미약품 올리타 논란 이후 이어지고 있는 정부의 비일관적 대처다. 이는 제약업계는 물론 해당 치료를 받거나 치료 받기를 원했던 폐암 환자와 가족들의 혼란과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올리타 안전성 논란이 불거진 뒤 한 달, 다수의 언론은 물론 전문가들도 이번 논란으로 인한 손실(환자입장)과 앞으로의 대응에 대해 갑론을박을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미약품의 대처에 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고 의약품 허가제도를 다시 정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일부에서는 이번 사태로 국내 제약산업이 위축돼서는 안된다며 제약산업 연구개발(R&D) 투자 확대가 더 필요하다는 대책을 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논란으로 정작 가장 큰 상실감을 겪고 있는 환자와 가족들의 고통을 어루만지거나 이에 대한 대책을 이야기하는 전문가들은 많지 않다. 아니 일부 환자단체를 제외하면 거의 없는 수준이다.

한미약품 논란으로 가장 많은 것을 잃은 피해자는 투자자나 회사, 업계가 아니다. 기존 치료제에 내성이 생겨 더 이상 치료 대안이 없는 환자들, 올리타를 복용하고 있고 앞으로 복용해야 하는 폐암 환자들이다. 또 그들을 지켜보며 실낱같은 희망을 가졌던 환자 가족들이 최대 피해자다.

오랜 시간 신약에 대한 기대로 병마와 싸워왔고 버텨왔던 폐암 환자들을 위해 정부는 어떤 대책을 준비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그 동안 보여준 정부의 일관성 없는 태도로 인해 폐암 환자들의 불안은 계속해서 가중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환자와 가족들의 불안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인 다양한 치료제(신약 등)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도 매우 불투명하다.

실제 폐암 환자와 가족들이 가장 많이 가입해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환자들이 신약 등 치료제의 건강보험 급여와 관련 얼마나 절박함을 느끼고 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일로 인해 타그리소의 건강보헙 급여까지도 제한될까 환자와 가족들의 걱정 어린 글들이 계속해서 게시되고 있다. 올리타와 타그리소에 대해 하반기 중 건강보헙 급여가 된다는 소식에 많은 환자들은 그 동안 힘들게 기다려왔다고 한다. 하지만 환자와 가족들은 현재 어떤 희망이다 기대감을 예측할 수 없는 불투명한 상황에서 시간의 흐름에 생명을 맡기는 불안정한 상황이라고 입을 모은다.

한미약품이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가능성과 미래를 보여주었고,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올리타라는 치료제를 통해 내일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논란을 일으킨 회사와 별개로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는 치료제 자체로만 판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업의 불법 행위에 대해 처벌하는 것과 효과가 있는 약을 환자들이 복용하고 질환을 치료하는 것은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항암제와 같이 환자들의 생명과 직결된 신약이라면 더욱 그렇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폐암 환자들과 가족들은 오늘도 생명을 담보로 시간과의 싸움을 벌이며, 보다 빠른 정부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폐암 환자들에게 얼마 남지 않은 시간과 치료 기회가 더 이상 낭비되지 않길 바란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