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4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추가 대국민 사과는 물론 최순실씨와 자신의 관계 및 의혹에 대한 해명, 검찰 수사를 받아들이겠다는 의사 등을 포괄적으로 언급할 예정이다. 국정 혼란을 야기한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이면서 국정 중 경제·사회 분야를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에게 사실상 이양하겠다는 국정 수습 방안도 밝힐 것으로 보인다. 내치(內治)에선 사실상 ‘2선’으로 후퇴하고 본인은 헌법상 군 통수권자로서 외치에 집중하겠다는 복안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3일 “국정만큼은 정상적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대통령의 절박한 심경이 담겨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는 지난달 25일 사과 이후 열흘 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담화에서 이번 사태와 관련한 의혹에 대해 국민에게 용서를 구한 뒤 해명할 부분은 해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25일 대국민 사과 이후 이뤄진 인사 수습책으로는 국민 여론을 되돌릴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관계자도 “대통령 담화는 진솔한 사과와 용서를 구하는 게 핵심”이라며 “필요하다면 검찰 조사를 받을 것이고, 국정이 원활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국회가 도와달라는 메시지도 밝힐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른 인사도 “모든 것을 내려놓고 국민 여론을 수용하겠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밝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여기엔 야권의 인사청문회 거부 입장으로 불투명해진 김 총리 내정자의 책임총리제를 실현시키기 위해선 박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 불가피하다는 판단도 깔려 있다. 지난달 25일 대국민 사과, 28일 청와대 참모진 일괄 사표 제출 지시, 30일 청와대 비서실 개편에 이어 2∼3일 잇따라 수습책을 내놓고 있지만 ‘백약이 무효’한 상태다. 특히 야당과의 협의 없이 이뤄진 김 총리 내정자 발표는 야권을 더욱 자극하고 거센 반발만 불러와 정국을 오히려 꼬이게 만들었다.
박 대통령의 담화 발표 소식은 3일 밤 늦게 청와대 대변인의 문자메시지로 공지됐다. 박 대통령은 총리 내정에 이어 청와대 비서실장 인선 등을 마무리지은 만큼 곧 입장 표명을 할 것으로 관측됐었다. 일각에선 이젠 김 총리 내정자의 총리 통과 여부에 청와대의 명운(命運)이 달려 있다는 말도 나온다.
한광옥 신임 청와대 비서실장은 춘추관을 찾은 자리에서 “최순실 사건에 대해선 확실하게 수사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국민들의 의심이 추호도 없도록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신뢰를 회복하고 대통령에게 민의를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비서실장은 동교동계 핵심 인사로 1999년 11월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임명된 이후 정확하게 17년 만에 박 대통령을 보좌하게 됐다. 당시 ‘옷 로비 스캔들’로 휘청이던 청와대에 소방수로 투입된 데 이어 이번에도 최순실 사태 수습을 위한 구원투수 역할을 하게 됐다. 대통령 2명을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보좌하는 헌정 사상 첫 사례이기도 하다.
글=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사진=이병주 기자, 그래픽=안지나 기자
朴 대통령 ‘내치 2선 후퇴’ 밝히며 총리인준 통한 국정 정상화 호소할듯
입력 2016-11-04 00:01 수정 2016-11-04 0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