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업계 “가격 급락 우려 상황 아냐”

입력 2016-11-03 18:18 수정 2016-11-03 21:32

부동산업계는 청약 규제를 강화한 11·3대책으로 청약 가수요가 억제되면서 청약 과열 현상은 어느 정도 누그러질 것으로 전망했다. 수도권 전매시장 축소로 타격은 받겠지만 가격 급락을 우려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는 분위기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3일 “계약금만 들고 시세차익 목적으로 웃돈을 노리던 청약 가수요가 위축될 것”이라며 “강남권 전매 규제로 틈새상품을 찾아 이동하는 강북 지역 풍선효과 유발도 쉽지 않을 듯하다”고 전망했다. 업계는 분양권 전매 시장이 통째로 사라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소유권이전등기 때까지 분양권 전매가 불가능해진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강남4구와 경기도 과천은 대표적 재건축 가격 급등 지역이다. 전매 거래 축소로 고분양가 행진에 제동이 걸리고 청약경쟁률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강남4구와 과천시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지 않아 시장이 어떤 식으로 움직일지 주목된다. 분양권과 달리 입주권 등 조합원 지위는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어 분양시장 가수요 일부가 입주권 거래 시장으로 흘러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이달 3일 전에 계약을 마친 기존 강남4구의 분양권은 거래에 제약이 없다. 업계는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년 강남4구 아파트 입주물량은 7031가구로 올해 6723가구와 큰 차이가 없는 만큼 공급과잉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청약 가수요로 부풀려진 거품이 빠지면서 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재구성될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도 나온다. ‘내 집 마련’ 확률이 높아지고 분양가 부담은 낮아지면서 무주택 실수요자에게는 분양시장 진입 문턱이 낮아질 것이란 얘기다.

업계는 강남권에서 길 잃은 투자 수요가 광범위하게 분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이 이미 양극화돼 있기 때문에 결국은 ‘돈이 되는’ 수도권과 일부 지방에 머물 것이란 얘기다. 투기적 가수요가 쏠릴 만한 지역으로는 부산이 지목됐다. 부산은 1순위 제한과 재당첨 제한 정도만 적용되고 분양권 전매는 자유롭다. 글=강창욱 기자 kcw@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