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배’ 든 김병준 “대통령 보호하려고 나선 것 아니다"

입력 2016-11-02 18:21 수정 2016-11-03 00:24

김병준 신임 국무총리 내정자는 2일 “내가 대통령을 보호하려고 나서지도 않았고, 그럴 이유도 없다”고 말했다.

김 내정자는 이날 밤 교수로 재직 중인 국민대 수업 전후로 기자들을 만나 총리직 수락 심경을 드러냈다. 노무현정부 핵심인사였던 김 내정자가 박근혜정부 총리라는 ‘독배’를 수락한 주된 이유는 결국 ‘책임총리’와 ‘국정중단’에 대한 우려였던 것으로 보인다.

김 내정자는 “헌정 중단 내지는 국정붕괴는 어떤 형태로도 안 된다”며 “지금 광화문에서 이야기하는 분들은 충분히 그럴 권리가 있고 그럴만한 심정이라고 이해한다”며 “그러나 그 와중에서도 국정을 챙기는 사람은 또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모든 사람이 다 길거리로 나설 수는 없지 않으냐. 챙기는 사람이 있어야지 밖에서 외치는 사람도 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내정자는 “많은 사람이 박 대통령 하야시키라고 하는데, 왜 방패막이를 하러 나서냐고 한다”며 “제가 방패막이가 될 이유가 없다. 다만 어떤 형태로든 국정이 중단되고 붕괴되는 것은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나는 국가가 돌아갈 때 어디가 어떻게 되는지 느낄 수 있다. 내가 (참여정부 때) 봤으니까”라고 현 상황을 우려했다.

김 내정자는 그러면서 박 대통령과의 독대 내용 일부를 소개했다. 김 내정자는 “상당한 권한을 위임하고 국정의 책임을 다 가질 총리를 지명하면서 단순히 전화로 했겠느냐”고 강조했다. 특히 책임총리에 대한 박 대통령과의 협의를 시사했다.

개헌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과 의견이 다름을 분명히 했다. 김 내정자는 ‘박 대통령이 정부 주도 개헌을 공언했는데 교감이 있느냐’는 질문에 “(박 대통령이) 그렇게 얘기했다면 저와는 생각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그는 “개헌은 궁극적으로 국회가 아닌가. 국회가 중요하지 정부가 개헌하자고 해서 정부 주도로 잘되겠는가”라면서 “정부는 행정적 지원 정도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 다만 총리 지명 과정에서 국회와 논의가 전혀 없었다는 불통 비판에 “굉장히 아쉬운 부분”이라고 했다.

일반적으로 총리 내정자는 개각 발표 이후 기자회견을 열어 소감과 이후 총리로서의 포부 등을 밝힌다. 하지만 정국이 김 내정자의 기자회견을 3일로 하루 미뤘다. 예상했던 것보다 야권의 반발이 더욱 거셌기 때문이었다.

김 내정자는 ‘노무현의 남자’로 통했다. 그는 참여정부에서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장, 청와대 정책실장을 역임하고 2006년 7월 교육부총리에 올랐으나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져 낙마했다.










조성은 정건희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