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古都’ 서울, 역사교육 현장으로

입력 2016-11-01 21:36

고대 백제의 수도 한성에서 고려의 남경(南京), 조선을 거쳐 현재 대한민국의 수도까지 ‘2천년 역사도시’ 서울의 전역이 역사교과서 현장으로 활용된다. 역사문화자원 발굴을 위한 지표조사공영제가 시 전역으로 확대되고 문화재 보존과학센터 설립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양준욱 서울시의회 의장,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등이 참석한 가운데 1일 시청에서 ‘2천년 역사도시 서울’ 선포식을 갖고 장기비전인 ‘역사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2021년까지 기본계획 4대 분야, 56개 과제에 총 7404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우선 ‘지표조사 공영제’를 현재 한양도성 밖 약 4㎞ 이내에서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서울 전역으로 확대한다. 이렇게 되면 갑작스런 유적 발굴로 인한 사업지연 가능성을 사전에 막고, 개인 사업자의 지표조사 비용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한강 이남 지역에 주로 분포한 풍납·몽촌토성, 석촌동·방이동 고분군 등 한성백제유적은 발굴 과정을 ‘현장박물관’으로 시민들에게 공개한다.

아울러 문화재 보존을 위한 장기 프로젝트로 공공정책이나 민간사업이 역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분석·평가하는 ‘역사문화영향평가제’를 도입한다. 여러 박물관·기관에 분산된 보존과학 기능을 통합, 보존과학 허브기관 역할을 수행할 ‘문화재 보존과학센터(가칭)’ 설립도 추진한다. 음악·연극·무용·공예·놀이 같은 무형자산에 대한 연구·전시, 교육부터 제작지원·마케팅까지 종합적으로 전담하는 ‘서울무형유산센터(가칭)’도 장기적으로 설립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4대문안 각종 개발사업에서 지하유구 발굴 시 처리방법·절차와 유구보존 시 적절한 인센티브를 주는 등의 내용을 담은 ‘도심 내 지하유구 재생 가이드라인’을 수립해 별도로 발표할 예정이다.

시는 지난달 창덕궁에서 수원화성까지 47.6㎞에 이르는 행렬구간에 3000여명의 인력과 400여필의 말을 동원, 시민과 관광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킨 ‘정조대왕 능행차 재현 행사’ 같은 역사문화 콘텐츠 개발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또 조선시대 과거제, 종묘·사직대제 어가행렬 등을 재현하고 무형문화축제를 연 1회 개최할 게획이다.

아울러 ‘2천년 역사도시 서울’이라는 정체성을 찾기 위한 전담·특화조직이자 싱크탱크로 ‘서울역사연구원(가칭)’을 설립하고 연구원 내에 시민 역사문화 교육을 통합 관리하는 ‘역사문화교육정보센터’ 설치를 추진한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