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절멸(絶滅)된 것으로 알려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한국표범(아무르표범)의 표준 게놈(Reference genome) 지도가 세계 최초로 완성됐다. 한국표범을 보전·복원할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한국표범은 우리나라에 서식했던 고양잇과 맹수다. 현재 북한 접경지역인 러시아 연해주 남서쪽에 60∼70마리가량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지난해 공동연구 협약을 맺고 1년6개월간 연구한 끝에 한국표범의 게놈지도를 완성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진은 2012년 대전동물원에서 자연사한 한국표범 ‘매화’의 근육을 이용해 표준 게놈 지도를 만든 뒤 러시아에 서식하고 있는 야생 아무르표범의 혈액을 확보해 유전체 서열을 해독하고 이를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표범의 유전자는 25억7000만개의 염기쌍으로 구성됐고 1만9000여개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생존한 개체수가 적어 개체 사이 염기서열 변이가 거의 없고 유전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멸종위험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한국표범의 표준 게놈을 해독한 결과와 포유류 게놈 비교분석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게놈 바이올로지(Genome Biology)’ 2일자에 게재된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
멸종위기 한국표범 게놈 지도 세계 첫 완성
입력 2016-11-01 18:37 수정 2016-11-01 2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