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코미 미 연방수사국(FBI) 국장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주자의 개인 이메일 불법 사용 혐의에 대한 재수사 착수를 결정한 것과 관련해 해치법(Hatch Act) 위반 혐의로 조사받게 됐다. 해치법은 공직자가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금지한 법이다. FBI 재수사 방침에 클린턴의 지지율이 흔들리면서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클린턴을 추월했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나왔다.
31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백악관 윤리담당 변호사를 역임한 리처드 페인터 미네소타대 로스쿨 교수는 공직자 비리 수사를 전담하는 연방특별조사국(OSC)에 코미의 직권남용 여부를 조사해 달라며 고발장을 제출했다. 이어 정부윤리위원국(OGE)에 해치법 위반 여부 조사를 의뢰했다. 닉 슈벨렌바흐 OSC 대변인은 “고발장을 접수해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만일 힐러리 민주당 후보의 최측근 후마 애버딘의 전남편인 앤서니 위너 전 연방 하원의원의 노트북에서 국가기밀이 포함된 새로운 이메일이 발견될 경우 클린턴 측은 의도적으로 주요 이메일을 빼돌렸다는 의혹에서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기존 수사에서 드러난 이메일과 중복된 내용만 있다면 FBI가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법무부는 미 의회에 보낸 답변서에서 “최대한 수사를 빨리 끝내도록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FBI도 이메일 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수사 재개를 결정한 코미를 향한 민주당의 불만이 폭발한 데다 일부 공화당 인사도 비판에 가세했기 때문이다.
부시 행정부에서 법무부 장관을 지낸 알베르토 곤살레스는 CNN에 출연해 “FBI 국장이라면 민감한 시기에 실수할 가능성이 있거나 비판받을 소지가 있는 결정을 해서는 안 된다”며 “코미가 수사 재개를 알리는 편지를 의회에 보낸 것은 판단미스”라고 비난했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선거에 개입하려는 의도로 수사 재개를 밝힌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면서도 “코미를 옹호하지도, 비판하지도 않겠다”고 말했다.
FBI 재수사 방침에 클린턴의 지지율도 흔들리면서 1주일 남은 대선 판도도 달라지고 있다. ABC방송과 WP가 지난 27∼30일 여론 추이 조사를 벌인 결과 트럼프 지지율이 46%를 기록해 클린턴을 1% 포인트 앞질렀다고 전했다. 지난 30일까지는 클린턴이 1% 포인트만큼 앞섰지만 이틀 만에 추월당했다. 두 기관 조사에서 트럼프가 클린턴을 제친 것은 지난 5월 이후 처음이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FBI 재수사 탓?… 지지율 뒤집혔다
입력 2016-11-02 00:09 수정 2016-11-02 0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