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여당이 총리 추천하는데 무슨 거국중립내각이냐”

입력 2016-11-01 00:03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앞줄 오른쪽)가 3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를 앞두고 자료를 검토하고 있다. 앞줄 왼쪽은 박완주 원내수석부대표와 의논하고 있는 우상호 원내대표.이동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31일 “새누리당이 총리를 추천하는 내각이 무슨 거국중립내각이냐”며 “국면을 전환하려는 잔꾀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이 전날 청와대에 거국내각 구성을 정식 요청하면서 김종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 김병준 전 청와대 정책실장을 총리 후보로 추천했다는 데 대한 반박이었다.

문 전 대표는 입장 자료를 내 “박근혜 대통령이 총리에게 국정 전권을 맡길 것을 선언하고 국회에 총리를 추천해줄 것을 정중하게 요청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새 총리 제청으로 새 내각이 구성되면 대통령은 국정에서 손을 떼야 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이 거국내각 구성을 주도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됐다.

앞서 야권은 거국내각 문제를 두고 혼선을 빚었다. 문 전 대표를 시작으로 박원순 서울시장, 손 전 대표, 민주당 김부겸 의원 등 대권 주자들이 ‘최순실 게이트’ 수습책으로 거국내각을 제안했는데 새누리당이 이를 수용하자 정작 민주당은 “일고의 가치가 없다”(윤관석 수석대변인)고 일축했기 때문이다. 여기엔 총리 후보로 거론되는 인사들의 면면이 크게 작용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민주당 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문 전 대표 입장에서 김·손 전 대표 중 누구든 책임총리가 돼 임기 내 개헌을 추진한다면 수용할 수 있겠느냐”며 “당 지도부가 ‘문재인 대세론’을 염두에 두고 대응책을 찾다 스텝이 꼬였다”고 했다. 당 차원에선 대선 때 외연 확장 역할을 할 수 있는 인사가 총리로 차출되는 데 부정적 기류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의원총회에서도 이런 논쟁이 재연됐다. 발언한 23명 의원 중 대다수가 국회가 주도하는 거국내각 외엔 수습책이 없다는 의견을 냈다. 한 의원은 “최순실 게이트의 진상규명을 위해서라도 대통령은 권한을 내려놔야 하고 그 권한을 여야가 합의한 총리에게 위임해야 하며 대통령이 이를 거부하면 자리에서 물러나는 길밖에 없지 않으냐”고 했다. 다른 의원은 “역풍 때문에 대통령 하야 촉구도 안 된다, 거국내각은 국면 전환용이니 안 된다고 하면 도대체 뭘 하자는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추미애 대표가 중진의원들과 오찬회동을 한 자리에서도 거국내각 요구가 줄을 이었다고 한다. 모임에 참석했던 한 의원은 “현 상황에서 거국내각을 구성하는 것 외에 답이 없다는 의견이 대세였고 하야를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소수지만 나왔다”며 “추 대표가 거국내각 구성 자체는 수용했다”고 말했다.

야당은 거국내각 논란과는 별개로 일제히 대응 수위를 높였다. 민주당은 현 상황을 국가비상시국으로 규정하고 매일 오전 비상의원총회를 열기로 했다. 1일엔 국회에서 전국 당원들을 대상으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진상규명 국민고보대회’를 연다. 국민의당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대책위원회’ 첫 회의를 열어 정국 대책에 관한 의견을 취합해 당 지도부에 보고하기로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사진=이동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