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한숨 돌리고 삼성·현대重 부글부글

입력 2016-10-31 17:57 수정 2016-10-31 23:45
정부가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하자 위기를 넘긴 대우조선해양은 ‘환영한다’는 뜻을 밝혔다. 반면 삼성·현대중공업을 포함한 업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31일 “정부가 회생의 기회를 다시 준 것 같다”며 “기존에 마련한 자구책을 지켜 경쟁력을 키우고, 다시 일어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날까지 희망퇴직을 받아 당초 목표였던 1000명 인력 감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정부가 밝힌 11조원 규모의 선박 조기 발주 계획에 대해서도 “경영 정상화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반겼다.

한숨을 돌린 대우조선과 달리 삼성·현대중공업은 부글부글 끓고 있다. 4조원 이상의 공적자금을 투입했지만 상황이 연일 악화되고 있는 대우조선을 끝까지 안고 가다간 조선업계 전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10억원 넘는 돈을 들였던 맥킨지 보고서는 아예 무시됐다”며 “정부가 제3자와 업계의 의견을 듣지 않고 마음대로 내놓은 미봉책”이라고 말했다. 당초 글로벌 컨설팅기관 맥킨지는 한국 조선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등 빅2 체제로 가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놓은 바 있다.

정부안에 대해서는 ‘새롭거나 특별한 내용이 없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미 3사 자구안에 포함된 내용의 재탕이라는 것이다. 정부가 발표한 7조원 규모의 군함·경비정 발주안도 한계가 있다. 군함 등은 상선에 비해 영업이익률이 떨어져 효과가 크지 않고, 중소 조선소에서 수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조선 빅3에 돌아가는 몫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수출산업인 조선업을 내수로 부양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며 “대우조선을 살린 뒤 저가 수주경쟁을 계속 부추기면 모두 서서히 망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 논리에 따라 이뤄진 결정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한 조선업 전문가는 “대우조선이 청산 절차를 밟을 경우 금융 당국은 그간 투입됐던 자금에 책임을 져야 하니 어떻게든 모면하려는 것”이라며 “서별관회의를 주도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정치적인 판단과 궤를 같이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