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주 절벽으로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는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2018년까지 조선 3사 독(dock) 수를 현재 31개에서 24개로 23%가량 줄이고 인력도 2만명(32%) 감축한다. 구조조정으로 침체된 5대 조선업 밀집지역은 긴급경영자금 투입 등 지원에 나선다.
정부가 31일 발표한 조선·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의 핵심은 국내 조선업체의 강점을 최대화하고 약점은 줄이거나 정리하자는 것이다.
우선 유동성 위험을 낮추기 위해 조선사별로 비핵심 사업과 비생산 자산을 매각, 분사, 유상증자 등으로 정리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현대중공업은 유휴 독 가동을 중단하고 비조선해양 사업 부문 분사를 추진한다. 삼성중공업도 호텔, 선주 숙소 등 비생산 자산을 매각하고 1조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하기로 했다. 부실규모가 큰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 사업을 점진적으로 축소하고 14개 자회사와 조선소 사업장 외의 모든 부동산을 매각한다.
인력 감축에도 나선다. 대우조선과 현중, 삼중 등 조선 3사의 직영 인력 규모를 6만2000명에서 4만2000명으로 32%(2만명) 줄이기로 했다. 대우조선해양은 5500명 감축에 나선 상태다. 정부도 수주 절벽에 대응하기 위해 11조원 규모로 250척 이상의 선박을 발주한다.
조선업 침체와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남·울산·전남·부산·전북권 등 5대 조선업 밀집지역엔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투입하는 등 단기대책을 마련하는 동시에 조선업에 편중된 지역산업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중장기 지원도 병행한다.
지역 조선기자재 업체들의 사업 안정화를 위해 내년까지 총 1조7000억원의 정책 자금을 투입하고 총 6800억원 규모로 긴급경영안정자금 등 융자 특별우대 지원도 집행한다. 2000억원 규모의 ‘조선업구조개선펀드’도 신설한다.
이 밖에 에너지 분야의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에 지역 조선기자재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전환 컨설팅 등을 추진하고 발전사 발주 사업에 참여할 경우 조선소 납품실적을 인정해주고, 조선기자재 업체가 참여한 컨소시엄에 가점을 부여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조선 3사 독 23%·인력 32% 줄인다
입력 2016-11-01 00:04